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요즘같은 무더위에 외출 필수템이 있습니다. <br><br>바로 양산인데요. <br> <br>효과가 탁월합니다. <br> <br>저희가 실험해보니 양산 쓸 때와 안 쓸 때 20도 넘게 차이가 났습니다. <br> <br>양산 대신 우산도 괜찮은데요. <br> <br>우산 색깔은 어떤 게 더 효과가 좋을까요?<br> <br>서상희 기자가 알려드립니다. <br><br>[기자]<br>최고기온 35도에 달했던 오늘 낮 서울 광화문 광장. <br> <br>빨간색, 검은색 알록달록 양산을 쓴 시민들이 보입니다. <br> <br>[한태희 / 서울 성동구] <br>"사실 원래 가지고 나온 건 아니고 걷다 보니까 너무 더워서 방금 (양산을) 구매하고 나왔거든요." <br> <br>[염영애 장양희 / 서울 송파구] <br>"훨씬 시원하죠. 안 쓴 거보다는 평상시에 자주 이용하는 편이에요" <br> <br>동네 주민센터에선 양산을 빌려주고 외근이 많은 사회복지공무원들도 양산을 챙깁니다. <br> <br>[서유라 / 서울 중구청 복지정책과] <br>"취약계층 방문을 자주 나가고 있는데 햇빛을 직접적으로 받으면 너무 덥고 약간 어지럽더라고요.". <br><br>UV 코팅이 된 양산을 썼을 때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, <br> <br>열화상카메라로 촬영해봤습니다. <br> <br>양산을 쓴 쪽은 얼굴부터 몸까지 낮은 온도를 나타내는 푸른색. <br> <br>반면 양산을 안 쓴 쪽은 머리부터 시뻘겋게 표시됩니다. <br> <br>약 15분 후. <br> <br>양산 쓴 사람의 머리 쪽 표면 온도는 37도, 안 쓴 사람은 65도에 달합니다.<br> <br>양산 대신 우산을 써도 될까. <br><br>검은색 우산을 써 봤습니다. <br> <br>3분 뒤, 머리 표면 온도가 10도 떨어지는데 노란색 우산을 썼을 때는 온도 변화가 거의 없었습니다.<br><br>해외 연구에서도 검은색 우산의 자외선 차단율은 90%로 흰색 우산보다 높았습니다.<br><br>검은색은 몸쪽으로 흐를 복사열을 흡수하고, 흰색을 쓰면 빛이 반사돼 몸을 더 덥게 할 수 있습니다.<br> <br>무더위에 불가피하게 외출을 할 땐 챙이 넓은 모자나 양산을 챙기고 가볍고 헐렁한 옷을 입는 게 좋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서상희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박희현 강철규 <br>영상편집 : 형새봄<br /><br /><br />서상희 기자 with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