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전단 보강근 뭐길래...순살은 아니다? [앵커리포트] / YTN

2023-08-02 1 Dailymotion

순살 아파트라는 비아냥, 그냥 웃고 넘길 일이 아니었습니다. <br /> <br />불안하긴 한데 지금 나오는 용어들이 생소하고 너무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무량판, 전단 보강근 뭔지 간단히 짚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아파트 구조 많이 보셨을 겁니다. <br /> <br />3개로 구분합니다. 벽식, 기둥식, 그리고 무량판 구조이렇게 구분하는데 벽식은 대부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고요. <br /> <br />기둥식과 무량판만 간단히 비교해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기둥식을 그림으로 표현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둥과 기둥 사이에 수평 기둥인 보를 얹는 걸 말하는 겁니다. <br /> <br />그 위에 천장과 바닥에 슬래브를 올리는 겁니다. 하중이 이렇게 수평이 있는 기둥이 있는 곳까지 분산되겠죠. <br /> <br />대신 건물 천장이 이렇게 울퉁불퉁하게 형성이 됩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불편하고요. <br /> <br />그리고 이만큼 천장이 낮아지기 때문에 그런 단점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무량판을 한번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무량판 앞에 보신 것처럼 보가 빠졌습니다. <br /> <br />파란색으로 빠진 보가 빠진 걸 무량판 구조라고 합니다. <br /> <br />그러니까 기둥 위에다 그대로 천장인 슬래브를 얹는 겁니다. <br /> <br />기둥식과 반대로 하중이 기중이 이쪽 부근에만 집중되겠죠. 그래서 대신 보 높이만큼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만큼 보가 있던 자리가 비기 때문에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요. <br /> <br />또 천장이 평평해지니까 지하주차장에서 볼 수 있는 여러 배관 작업을 하는 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무량판 구조 기둥 하나만 떼서 따로 더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말한 대로 하중에 기둥에 솔립니다. <br /> <br />힘이 위에서 누르고 밑에서 올리는 힘이이렇게 부딪히게 되는데 이게 어긋나게 되는 걸 바로 전단이라고 부릅니다. <br /> <br />무량판 구조에선 주로 구멍이 뚫리는 사고가 난다고 하는데 그걸 바로 펀칭이라고 부릅니다. <br /> <br />사고가 나면 이렇게 마름모 형태로 사고가 나게 되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이걸 막기 위해서 보강근이라는 게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슬래브에는 가로로 길게 철근이 들어갑니다. 표시해 보면 이렇게 철근이 들어가는데, 이렇게 되겠죠. <br /> <br />이렇게 길게 철근이 들어가는데 이걸 보강해서 수직으로 철강을 많이 보강해 주는 겁니다. <br /> <br />주로 기둥이 있는 부근에 철근을 보강해 주는 겁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사방에서 단면으로 보면 이렇고요. <br /> <br />위에서 봤을 때는 사방으로 이걸 시공하는 걸 이 공법이라고 합니다. <br /> <br />대각으로 균열이 생기는 걸 막을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802120414446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