내부통제 강조하더니…이번엔 경남은행서 562억 횡령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해 우리은행에서 700억원대 대형 횡령사고가 터진 뒤, 금융당국이 금융사들의 내부통제 강화에 나섰는데요.<br /><br />그런 노력에도 이번엔 BNK경남은행에서 560억원대 대형 횡령사고가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김동욱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BNK경남은행에서 터진 횡령사고의 현재까지 확인된 규모는 562억원입니다.<br /><br />당초 경남은행은 자체 감사에서 78억원 규모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 횡령을 적발해 금융감독원에 지난달 말 보고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금감원 현장검사에서 당초 보고 규모의 6배가 넘는 484억원의 횡령액이 더 나온 겁니다.<br /><br />거액을 횡령한 이 은행 부동산투자금융부장 이 모 씨는 2007년 12월부터 올해 4월까지 15년간 부동산 PF 업무를 담당해왔습니다.<br /><br />이씨는 2016년~2017년 부실화한 PF 대출에서 수시 상환된 대출 원리금을 가족 명의 계좌에 이체하는 방식으로 78억원을 횡령했습니다.<br /><br />또 2021년 7월과 작년 7월 두 번에 걸쳐 PF 시행사의 자금인출 요청서를 위조해 대출금을 가족 법인 계좌로 이체해 326억원을 가로챈 혐의도 받습니다.<br /><br />금감원은 서울의 경남은행 투자금융부서뿐 아니라 은행 내부통제 실패 가능성이 있는 만큼, 경남 창원의 경남은행 본점에도 검사반을 확대 투입했습니다.<br /><br />또, 서울중앙지검 범죄수익환수부도 이씨와 관련자들의 주거지, 사무실 등 10여 곳을 압수수색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우리은행에서 터진 700억원대 대형 횡령사고 뒤, 금융당국은 내부통제 강화 작업을 벌여왔습니다.<br /><br /> "그간 발생한 펀드 불완전판매, 대규모 횡령 사태 등을 현장에서 직접 검사하면서 그 원인의 대부분이 내부통제 문제였음을 확인했습니다."<br /><br />하지만 또다시 터진 대형 횡령사고에 금감원은 "내부통제 실패에 책임 있는 관련 임직원도 단호하고 엄정하게 조치할 방침"이라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동욱입니다. (dk1@yna.co.kr)<br /><br />#경남은행 #대형 #횡령 #금감원 #서울중앙지검 #내부통제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