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휴가철이면 숙소 예약도 쉽지 않습니다. <br> <br>특히 국립공원 안에 있는 휴양시설 예약은 하늘의 별따기죠. <br> <br>그런데, 국립공원공단 직원들은 언제든 공짜로 쓸 수 있는 방법이 있었답니다. <br> <br>조아라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산과 바다에 둘러싸여 우수한 경관을 자랑하는 국립공원 내 생태탐방원입니다. <br><br>2011년 북한산을 시작으로 지리산, 설악산 등 전국 8곳에 문을 열었습니다. <br> <br>숙박이 가능한데,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조용하고 공기도 좋아 인기입니다.<br><br>특히 휴가철 예약은 '하늘의 별따기'입니다.<br> <br>그런데 국립공원공단 일부 직원들은 손쉽게 예비객실을 이용해온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><br>예비객실은 일반 객실에 문제가 생겼을 때를 대비해 온라인 예약을 받지 않아 언제든 비어있습니다. <br> <br>크기도 가장 큽니다.<br> <br>같은 넓이의 방을 이용하려면 일반 국민은 1박에 13만 2천 원을 내야 하지만 직원들은 공짜로 이용했습니다.<br><br>국민권익위원회 조사 결과 지난 1월부터 5개월 동안 직원이 14차례 공짜로 사용하다 적발됐습니다. <br> <br>특히 내장산 생태탐방원에서는 원장 본인이 가족과 함께 예비객실을 이용했습니다.<br> <br>예비객실은 숙박 기록조차 관리되지 않고 있어 부당 이용 사례가 더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. <br><br>[정승윤/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] <br>"공단 직원들의 예비객실 사적 사용 및 특정인에 대한 무료 사용 특혜 제공은 과거부터 관행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입니다." <br> <br>국민권익위는 환경부 등 관계부처에 부당 이용자에 대한 감사와 제도 개선을 요구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조아라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김기범 <br>영상편집: 김문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