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국토교통부는 무량판 구조로 지어진 민간 아파트를 전수조사 하겠다죠. <br> <br>이 중에는 지하주차장이 아니라 주택동이 무량판 구조인 경우도 있습니다. <br> <br>철근이 없는게 문제지, 무량판 구조가 다 문제는 아닌데요.<br><br>그래도 입주민들은 불안합니다. <br> <br>서울주택도시공사도 전수조사에 나섭니다. <br> <br>곽민경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2019년 입주한 서울 강동구의 한 아파트입니다. <br><br>최근 입주민 단체 대화방에선 아파트가 무량판 구조인지, 또 철근이 빠지는 등 문제는 없는지 우려하는 대화가 이어집니다.<br> <br>[A씨 / 서울 강동구] <br>"저는 아기도 있고 하니까 안전이 일단 제일 걱정이 될 것 같아요. 안전진단 같은 것도 해봤는지도 궁금하고." <br> <br>[B씨 / 서울 강동구] <br>"이 아파트도 무량판 (구조) 잘 돼 있는지 안 돼 있는지 궁금하기는 하다. 알고 싶지." <br> <br>인근 아파트 대부분 입주 5년 미만의 신축 아파트로, 무량판 구조가 적용된 곳이 많습니다. <br><br>관리사무소에는 안전 문제는 없는지 묻는 전화가 빗발칩니다. <br> <br>[C 아파트 관리사무소 관계자] <br>"철근 부족으로 아파트 명단 공개됐는데 우리 아파트는 괜찮으냐 물어보시길래 저희 아파트는 아직까지 문제 된 건 없다." <br><br>2017년 이후 준공된 전국 민간 아파트 중 무량판 구조를 채택한 단지는 총 293개입니다.<br><br>무량판 구조는 1995년 불법 증축으로 무너진 삼풍백화점에 적용됐다는 사실이 알려진 후 사용을 꺼리던 구조지만 공사비 절감 등 장점이 부각되며 아파트에 적용됐습니다.<br> <br>[안형준 / 건국대 건축공학과 교수] <br>"무량판 구조는 상당히 장점이 있고 구조적으로 합리적인 구조인데 그것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전단보강근을 확실하게 배근해야 합니다." <br> <br>이번 문제가 불거지자, 서울시도 서울주택도시공사가 발주한 지하주차장 무량판 구조 아파트를 전수조사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곽민경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: 권재우 <br>영상편집: 이태희<br /><br /><br />곽민경 기자 minkyung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