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<br><br>이런 날도 오네요 세계 최대 경제강국 미국 신용등급이 떨어졌습니다. <br><br>29년 동안 최고 등급을 유지하던 미국, 신용평가사 피치가 전격적으로 한 단계 낮췄습니다. <br> <br>여기도 정치 리스크와 부채가 발목을 잡았는데요. <br> <br>해마다 부채한도 놓고 여야가 벼랑 끝까지 대치하는 것, 그리고 미국의 과도한 부채가 원인인데요. <br><br>우리나라에도 시사하는 바가 커보이죠. <br> <br>첫 소식 전혜정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 지난 5월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공화당과의 부채한도 상향 협상을 극적으로 타결했습니다. <br><br> 벼랑 끝 대치는 디폴트 시한 사흘 전까지 이어졌고 국가 부도 위기는 간신히 넘겼습니다.<br>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(지난 5월)] <br>"미국 역사상 처음 발생할 뻔한 채무불이행(디폴트), 경기침체, 퇴직연금 중단, 일자리 감소 등 최악의 상황을 막았습니다." <br><br> 신용평가사 피치는 당시 상황을 언급하며 29년 동안 AAA로 유지했던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+로 강등했습니다.<br><br>"지난 20년간 부채 한도를 두고 대치와 극적 해결이 반복됐다"며 "미국의 관리 능력이 악화되고 있다"고 지적한 겁니다.<br><br> 4경 원을 훌쩍 넘은 미국 부채 문제도 신용등급 하향의 이유로 꼽았습니다.<br> <br> 12년 전에도 다른 신용평가사 S&P가 비슷한 이유로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전격 강등했습니다. <br> <br> S&P에 이어 피치까지 미국의 신용등급을 끌어내리면서 3대 신용평가사 중 미국을 최고등급으로 유지하는 곳은 무디스만 남았습니다. <br><br> 재닛 옐런 재무부 장관은 "자의적이고 시대에 뒤떨어진 결정"이라고 즉각 반발했습니다.<br> <br> 그러나 이번 신용등급 강등이 '시한폭탄'과 같은 세계 최대 채무국에 대한 경고로 봐야한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전혜정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이성훈 <br>영상편집 강 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