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과학계는 물론 인터넷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단어가 하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바로 '상온' 초전도체입니다. <br /> <br />꿈의 기술로만 알려졌는데, 국내 연구진이 이를 개발했다는 주장을 하면서 진짜냐 사기냐 말들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'초전도체'가 무엇인지부터 정리가 필요할 것 같은데요. <br /> <br />가장 큰 특성은 전기를 보낼 때 장애물이 되는 저항이 전혀 없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전자를 자동차라고 한다면, <br /> <br />우리가 쓰는 모든 전선은 자동차들이 빽빽한, <br /> <br />그러니까 전자가 이동하는 데 방해가 되는 저항이 많아서 전자가 빠르게 못 움직이는 도로라고 할 수 있고요. <br /> <br />저항이 전혀 없는 초전도체는 이렇게 뻥 뚫린 고속도로로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다른 특징은 자석을 갖다 대면 밀어내는 자기장이 발생한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이걸 '마이스너' 효과라고 하는데, 이것 때문에 공중에 둥둥 뜨는 현상을 나타냅니다. <br /> <br />영화 '아바타'에 둥둥 떠 있는 섬들이 등장하는데요. <br /> <br />강한 자기장을 지닌 초전도체이기 때문에, 이게 가능하다는 게 영화 속 설정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특징 덕분에 자기부상열차나 양자컴퓨터, 핵융합 발전기처럼 <br /> <br />현대 기술의 한계로 상용화하지 못하고 있는 첨단 기기를 완성할 수 있어 '꿈의 물질'로도 불리는데요. <br /> <br />문제는 이걸 활용하기가 아주 까다롭다는 데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진 영하 200℃ 아래 극저온이나 대기압의 만 배 이상 높은 압력에서만 간신히 초전도 현상이 나타나는 수준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 환경을 만드는 것 자체가 쉽지 않겠죠. <br /> <br />그런데 일주일 전쯤 우리나라에서, <br /> <br />우리 주변 상온에서 온도를 떨어뜨리지 않고, 압력을 가하지 않고도 이런 초전도 현상이 나타나는 금속, 합금을 만들었다는 발표를 한 겁니다. <br /> <br />사실이라면 엄청난 일이죠. <br /> <br />실제라면 애국가에 넣어야 한다는 반응부터, 초전도체를 적용한 미래 대한민국을 과장되게 그리는 등 기대감을 담은 각종 밈(meme)이 온라인에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과학계는 검증 작업에 착수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과 미국 연구팀에서는 긍정적인 반응이 나오기도 했는데, <br /> <br />아직까지는 검증이 더 필요하다는 신중한 의견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[이선호(엑소) / 과학커뮤니케이터(YTN '뉴스라이더') : 아직은 완벽하게 검증이 안 됐고 일방적인, 초전도체를 성공했다고 하는 연구 그룹의 주장과 내용만 나와있는 상황이고요. 그렇기 때문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영수 (kimys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30803141409110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