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남은행 대형 횡령, 우리은행 닮은 꼴…왜 반복되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경남은행의 562억원에 달하는 이번 대형 횡령 사고는 작년 우리은행 700억원 횡령 사고와 닮은 꼴이란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이보다 규모는 작아도 올해 발생한 금융사 횡령 사고만 32건이 더 있는데요.<br /><br />왜 이런 사고가 반복되는 걸까요.<br /><br />김동욱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현재까지 확인된 사고액만 562억원에 달하는 경남은행의 횡령 사고.<br /><br />부동산투자금융부장 이모씨는 15년간 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 업무를 맡아왔고, 빼돌린 돈은 가족 명의 계좌나 가족 운영 법인의 계좌로 빼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작년 우리은행의 700억원대 횡령사고와 닮은 꼴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순환근무 원칙을 안 지키고 한 부서에 장기 근무했고 고위험 업무에 대한 직무 분리가 진행되지 않은 점, 직원 1명이 수백억 원을 빼돌렸다는 점, 문서를 위조하고 가족을 동원한 점 등이 판박이라는 겁니다.<br /><br />검찰 역시 이번 사건이 지난해 우리은행 횡령 사건과 비슷한 구조로 보고 친인척 등이 도왔는지 여부를 수사 중입니다.<br /><br />이번 건을 포함하면 올들어 7월까지 금융사 횡령 사고는 11개 사, 33건에 총 592억7,000만원에 달합니다.<br /><br />지난해 대형 횡령 사고 후 내부통제 강화를 주문한 금융당국의 영이 서지 않은 건데, 금융사들의 안일한 태도가 문제로 지목됩니다.<br /><br /> "코인했다는데 방법이 있습니까? 아무리 경찰 100명을 세워놔도 한 사람 못 잡는다는 속담도 있듯이…사실 매뉴얼대로 하는 게 저도 지점장을 해봤는데 쉬운 건 아니거든요. 불편해요."<br /><br />우리은행은 지난 6월 횡령 사고가 또 발생하자 지난달 말 내부통제 혁신방안을 발표했는데, 이 자리에서도 "아무리 좋은 제도를 만들어도 인간의 본성을 못 이긴다"고 말해 원인을 내부 시스템 미비 대신, 직원의 일탈에서 찾았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동욱입니다. (dk1@yna.co.kr)<br /><br />#경남은행 #우리은행 #횡령사고 #내부통제 #미비 #안일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