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다음 소식입니다.<br><br>꿈의 물질로 불리는 초전도체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단 소식에, 전 세계 과학계가 떠들썩합니다. <br> <br> 영하 200도 이하의 극저온인 아닌 상온에서도 가능하다는 실험 영상 때문입니다,<br> <br> 정말 진짜라면 영화 속에서나 본 공중에 떠다니는 섬들이 가능할 수도 있단 얘기까지 나옵니다. <br> <br> 사실이다 아니다, 논란이 커지고 있는데 국내외 학회가 앞다퉈 검증에 나섰습니다.<br> <br>정현우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검은 물체가 자석 위에 떠 있습니다. <br> <br>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는 상온 초전도체입니다. <br> <br>초전도체는 저항 없이 전기가 잘 통하는 물질로 자력을 밀어내는 특성이 있습니다. <br><br>지금까진 영하 270도와 같이 극저온 조건에서만 관찰됐습니다. <br><br>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납과 구리 등을 섞어 고온에서 구웠더니 상온에서도 초전도체로 확인됐다는 논문을 발표한 겁니다.<br> <br>초전도체가 상용화되면 발전소부터 가정까지 전기를 손실 없이 보내 발전 단가가 낮아집니다.<br><br>극저온 초전도체를 활용 중인 자기공명영상장치, MRI 성능이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자기부상열차는 훨씬 빨라집니다. <br> <br>해당 연구 결과는 아직 학술지에 정식 게재되기 전인데 사실로 밝혀지면 노벨상을 받을 만큼의 성과로 평가됩니다. <br> <br>국내외 연구진이 교차검증에 나선 가운데 국내 학회에선 초전도체가 아닐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. <br> <br>[최경달 / 초전도저온학회장] <br>"지금까지 나온 데이터로는 상온 초전도체라고 판단하기엔 부족하다. 다수의 회원들이 검증위원으로 참여해서 실험에 착수한 상태입니다." <br> <br>연구진은 논문을 투고한 학술지의 심사가 끝나야 시료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학회에 밝혔습니다. <br><br>결론이 나오려면 1달 이상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증시는 이미 초전도체로 과열돼 관련주가 오늘까지 사흘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. <br><br>금융투자업계에선 아직 검증이 안 된 만큼 관련주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현우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방성재<br /><br /><br />정현우 기자 edg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