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물가 악재 줄줄이…인플레 완화 기대감에 '찬물'

2023-08-07 3 Dailymotion

물가 악재 줄줄이…인플레 완화 기대감에 '찬물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달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2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지만, 체감이 안 된다는지적이 많습니다.<br /><br />폭염과 장마로 농축산물 가격이 급등한데다 국제유가가 상승세로 돌아선 탓인데요.<br /><br />이달부터는 교통요금도 오를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서울 가락시장에서 경매된 배추 도매가, 일주일 새 두 배 넘게 올라 이제 10㎏당 2만2,500원입니다.<br /><br />오른 건 배추만이 아닙니다.<br /><br />무, 대파, 양파 가격 역시 일주일 새 두 배가 올랐습니다.<br /><br />장마철 집중 호우가 끝난 뒤 곧바로 폭염이 이어지며 공급량이 쪼그라들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여름에는 채소가 녹아버리니까. 계속 오르겠지. 그렇다고 해서 김치 주다가 안 줄 수는 없는 것이고…."<br /><br />가뜩이나 인건비와 임대료가 부담인데, 재료비까지 오르니 외식 물가 압박도 갈수록 커지는 모양새입니다.<br /><br />올해 들어 7월까지 근원 물가, 즉 농산물과 석유류 등을 뺀 물가는 4.5% 올라 1998년 외환위기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는데, 외식 물가가 주도하는 높은 서비스 물가의 영향이란 게 통계청 분석입니다.<br /><br />더 큰 문제는 폭염과 장마에 이어 물가를 자극할 악재들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태풍이란 기상 변수 외에도 오는 12일부터 서울 시내버스 기본요금이 1,500원으로 300원이, 10월부터는 서울 지하철 기본요금이 150원 인상됩니다.<br /><br />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.3%로 떨어진 건 석유류 가격이 안정세를 보인 영향이 큰데 이제 이마저도 불안해졌니다.<br /><br /> "(석유) 감산과 또 일부 정유사의 가동 정지로 유가는 계속 상승세로 힘을 얻고 있는 상황으로 보입니다."<br /><br />물가 불안 요인이 많은 만큼 올해 성장률 반등 역시 쉽지 않을 것이란 우려가 많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 (trigger@yna.co.kr)<br /><br />#물가 #외식 #김치찌개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