더 크게 불어나는 가계 빚…곳곳에서 경고음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수도권 아파트 매매가 조금씩 늘면서 주택담보대출도 덩달아 불어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신용대출 감소세까지 멈출 기미를 보이면서 전체 가계 대출도 심상찮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여기저기서 경고음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하반기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신고된 서울의 월별 아파트 매매 건수를 그래프로 그려봤습니다.<br /><br />한은이 처음 0.5%p 기준금리 인상, 빅스텝을 단행한 지난해 7월부터 연말까지 바닥을 찍다시피 한 거래량은 올해 서서히 상승곡선을 그리더니 6월에는 2년 전 수준을 회복했습니다.<br /><br />이렇게 아파트를 사려는 사람이 늘자 가계빚도 들썩이기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고금리 여파에 한동안 감소세를 보이던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폭은 4월부터 다시 확대됐고, 잔액 기준으로는 6월과 7월 잇따라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.<br /><br />경제 규모가 커질수록 빚은 늘게 마련이지만, 고금리 터널의 끝이 보이지 않고 있단 게 문제입니다.<br /><br /> "이자를 갚아야 되는 가계의 소비 여력이 줄어들 수가 있겠고 이와 관련된 기업들의 투자, 자영업자들의 상황이 동시에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…"<br /><br />국내외 각종 지표에선 이미 경고등이 켜진 상태입니다.<br /><br />국내총생산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작년 말 이미 105%선으로 주요 43개국 중 세 번째로 높고, 소득 기반이 약한 20대 이하의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2분기말 0.44%로 역대 최고로 치솟았습니다.<br /><br />이미 지난달 한은 금통위원 전원은 한 목소리로 가계대출 증가세를 줄여야 한다고 경고를 보낸 상황.<br /><br />금융당국이 대출 수요를 늘리는 정책으로 가계부채 위험을 키우고 있단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, 금융위는 이와 관련한 점검회의를 열고 대응방향을 논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 trigger@yna.co.kr<br /><br />#한국은행 #가계빚 #연체율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