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국 영향권 태풍 '카눈' 남해안 접근…대비 어떻게?<br /><br /><br />제6호 태풍 카눈이 제주 해상을 지나 한반도 육지를 향해 바짝 다가서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내륙을 관통하는 카눈은 여전히 강도가 '강'의 태풍을 유지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상륙 이후 다소 약화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속도가 느린 만큼 안심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관련 내용들, 이영주 경일대학교 소방방재학부 교수 전화로 연결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교수님, 나와 계십니까?<br /><br /> 잠시 후 9시쯤이면 태풍이 남해안에 상륙할 것으로 보이는데요. 한반도를 남쪽 끝부터 북쪽 끝까지 내륙에서 종단하는 사상 첫 태풍이 될 것 같습니다. 대단히 이례적이죠?<br /><br /> 일본 규슈 서편을 지나면서 세력이 다소 약화가 됐다고 합니다. 육지에 도착하고 지리산을 넘을 때 강도가 더 약해질 가능성은 없을까요?<br /><br /> 하지만 속도가 느려 걱정입니다. 정체시간이 길면 피해가 더 클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. 과거에도 이런 느린 속도의 태풍이 있었나요?<br /><br /> 지난 장마 때 한번 홍역을 치른 각 자치단체마다 비상인데요. 지금, 이 시점에 챙겨야 할 것들이 있다면 뭐가 있을까요?<br /><br /> 현재 산사태와 침수 우려가 있는 곳, 1만300여명이 사전 긴급 대피했다고 합니다. 적절한 조치라고 보시는지요?<br /><br /> 강풍에 바람까지 세면 교통편 이용에 불편이 많은데요. 항공기와 여객선 운항은 사실상 어려울 것 같고요. 열차 운행도 쉽지 않은 것 같아요. 일부 구간 열차 운행이 중단됐습니다. 강풍 때문인가요?<br /><br /> 지난달 오송 지하차도 참사도 있었지만, 저지대나 지하차도 등 이용 시 고립되거나 침수가 될 수도 있는데요. 이 부분은 어떻게 대비하고 만일 침수가 되기 시작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정부가 공공기관 민간기업에 출퇴근 조정을 권고했는데, 상황이 악화하면 출근을 아예 자체토록 하고 재택근무로 돌려야 하지 않을까요?<br /><br /> 전국이 강풍의 영향권에 들어갑니다. 특히 태풍의 위험반경이 있는데, 어디가 그에 속한다고 보면 될까요?<br /><br /> 바닷가 인근에 초고층 건물이 많습니다. 이런 곳들은 어떤 점에 가장 유의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벌써 정전 피해가 발생한 곳들이 있습니다. 정전에 대한 대비책과 만일 정전이 발생하면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사실 제일 위험한 게 산사태가 아닌가 싶습니다. 지난번 경북 예천의 경우도 산사태 위험 지역이 아닌 곳에서 산사태가 발생하기도 했거든요?<br /><br /> 태풍 특보가 발효되면 일단 외출을 자제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겠지만 출근하시는 분들은 어떤 점에 유의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해수욕장 등 태풍에 직접 노출될 수 있는 지역으로 가시면 절대 안 될 텐데요. 대피 명령이나 출입 통제 지시를 따르지 않는 분들도 있다고 하죠?<br /><br /> 마지막으로 내일(11일) 서울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 잼버리 참가자들을 위한 K팝 공연이 열립니다. 그 시간이 태풍이 북한으로 빠져나간 뒤 일텐데요. 태풍이 지난 뒤라 무대 설치나 안전에 더 신경을 써야 할 것 같은데요. 어떤 점을 챙겨봐야 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