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다음은 서울 잠실에 나가 있는 김승희 기자 연결할텐데요. <br> <br>서울에서 강풍이 가장 우려되는 지역이 송파, 강동 쪽이라고 합니다. <br> <br>거대한 소용돌이를 형성하는 바람의 길목이라고 하는데요. <br> <br>김승희 기자, 바람의 위력이 느껴지나요? <br><br>[기자]<br>네, 이곳 잠실에서도 태풍의 접근을 실감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바람이 점점 강하게 불고 있는데요, <br> <br>태풍은 약 2시간 쯤 뒤 서울 동쪽을 지나갈 전망이라, 밤이 깊을수록 강풍의 위력이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국내에서 가장 높은 건물인 롯데타워에서 바라본 서울의 모습입니다. <br> <br>태풍이 다가오면서 하늘에 비구름과 안개가 뒤섞여 앞이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. <br> <br>현재 태풍의 거대한 바람의 소용돌이는 경기도와 충청북도의 경계 부근으로 모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태풍이 북상하면서 경기 동부지역에 큰 바람길이 형성된 가운데, 태풍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서울 동쪽, 송파와 강동 지역에도 북쪽에서 바람이 모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태풍이 이미 가장 낮은 강도로 떨어졌지만 안심할 수 없습니다. <br> <br>여전히 초속 20m 이상의 강풍을 몰고 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고정된 건물의 간판을 날려버릴 수 있는 위력입니다. <br> <br>특히 이곳 잠실처럼 고층 아파트가 많은 곳은 서울에서 빌딩풍이 심한 곳 중 하나입니다. <br> <br>도심의 빌딩숲은 그렇지 않은 곳보다 바람의 속도가 40%에서 최대 2배 이상 빨라집니다. <br> <br>2010년 태풍 곤파스는 빌딩풍의 위력을 강하게 남겼습니다. <br> <br>이번 태풍처럼 중급 이하의 위력으로 서울 근처를 통과했지만 피해는 컸습니다. <br> <br>서울에 빌딩풍이 불어닥쳐 약 1600억원의 재산피해가 났습니다. <br> <br>태풍이 서울을 빗겨가지만 단단히 대비를 해야 하는 이유입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잠실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한일웅 <br>영상편집: 형새봄<br /><br /><br />김승희 기자 sooni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