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<br>지난해 한 초등학생의 아버지가 아이의 담임교사에게 보낸 편지입니다. <br> <br>십계명같은 구계명이네요. <br> <br>"'하지 마, 안 돼' 등 제지하는 말은 절대 하지 않는다" <br> <br>"또래의 갈등이 생겼을 땐 철저히 우리 애 편을 들어달라" <br> <br>'왕의 DNA를 가진 아이라 왕자에게 말하듯이 듣기 좋게 돌려 말해도 다 알아듣는다" <br> <br>편지를 보낸 사람은 교육부 5급 사무관입니다. <br> <br>이 편지를 받은 선생님은 얼마나 부담스러웠을까요? <br> <br>실제 아버지는 자녀의 이전 담임교사를 아동학대로 신고했습니다. <br> <br>아이가 이동 수업을 거부해 교실에 혼자 남게 됐는데, 이게 선생님의 방임 때문이라는 겁니다. <br> <br>결국 선생님은 직위해제됐고, 사무관은 이런 사실을 후임 교사에게 알렸습니다. <br> <br>"나 이런 사람이야" 알리고 싶었던 모양이죠? <br> <br>물론 해당 선생님은 혐의없음으로 복직했고, 이 편지가 보도되고 논란이 되자 거꾸로 교육부가 이 사무관을 직위해제했습니다. <br> <br>그제서야 사무관이 사과문을 내고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> <br>왕의 DNA라는 표현은 "경계성 지능을 가진 아동 치료기관 자료의 일부였다"며 "자식에 대한 안타까움으로 지혜롭게 대처하지 못했다"고요. <br> <br>자기 자식 귀한 거 어떤 부모나 마찬가지일 겁니다. <br> <br>특히 몸과 마음이 불편한 자식이라면 더욱더 그럴 겁니다. <br> <br>그렇다면 선생님도 누군가의 귀한 자식 아니겠습니까. <br> <br><br><br /><br /><br />천상철 기자 sang1013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