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 유행 이후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권 침해 사례가 5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교육부가 발표했던 교권보호 대책 시안엔 유치원 교사들을 보호할 대책은 빠졌습니다. <br /> <br />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코로나19 유행 당시, 영유아 교육은 파행을 거듭했습니다. <br /> <br />엄격한 사회적 거리 두기로 정상적인 교육 과정이 중단되면서 발달과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이 늘었고 <br /> <br />까다로운 방역 지침과 비대면 수업 등 업무는 물론 관련 민원도 급증했습니다. <br /> <br />[박다솜 / 전국국공립유치원교사노조 위원장 : (코로나19 유행 초기엔) 월수는 a팀 등원하고 화목은 b팀 등원하고 이런 식으로 운영했거든요. (교육청 방침인데도) 왜 우리 의사가 존중되지 않고 그렇게 운영을 하는지 민원을 제기한다거나….] <br /> <br />이 과정에서 교권 침해도 빈번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시도교육청 교권침해 지원기관에 접수된 유치원 교사 상담 신청 건수를 보면 <br /> <br />2020년엔 77건이었는데, 코로나19로 사회적 격리가 격상된 이듬해엔 350건으로 5배 가까이 뛰었고, 다시 1년 뒤엔 5백 건에 육박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생활 지도권은커녕 교권보호위 개최 대상도 아닌 유치원 교사들은 호소할 곳도 없고, <br /> <br />억지 민원이라도 사과부터 하는 일이 반복되면서 교권 침해 수준도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사실상 '내 아이한테 무조건 맞춰달라'는 요구부터 <br /> <br />[이경미 / 한국국공립유치원연합회장 : 아이들에게 맞춤형, 정말 '내 아이만 봐주세요'라고 이야기하시는 분들이 굉장히 많으시고….] <br /> <br />[박다솜 / 전국국공립유치원교사노조 위원장 : 활동하다가 모기에 물리거나 그럴 수 있잖아요. 너무 심하게 악성 민원을 계속 반복하는 경우에는 (의무 교육과정임에도) 야외활동을 줄이게 될 수밖에 없는 거죠. 그 아이를 모기에 물리지 않게 하기 위해서.] <br /> <br />욕설과 무시, 협박까지 이어지는 경우도 빈번합니다. <br /> <br />[학부모 (출처: 경기일보) : 뭐 하시는 거에요, 배운 사람한테, 당신 어디까지 배웠어요, 지금? 카이스트 경영대학 나와서 MBA까지 우리가 그렇게 했는데 카이스트 나온 학부모들이 문제아냐고!] <br /> <br />유치원 교사들은 교육부가 내놓을 교권 보호 대책에 유치원 교사들을 위한 대책도 포함해달라고 요구하고 있지만, <br /> <br />교육부는 '초중등법 개정'이 목표라며 유치원 교사 교권에 대해선 단순 매뉴얼 제정을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현아 (kimhaha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0815223147920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