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달 예금 금리가 소폭 떨어지면서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도 석 달 만에 내려갔습니다. <br /> <br />가계 부채가 역대 최고를 기록한 가운데 일단 가계 빚 부담은 어느 정도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엄윤주 기자. <br /> <br />우선 코픽스가 석 달 만에 내렸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은행권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기준이 되는 자금조달비용지수, 코픽스가 내려갔습니다. <br /> <br />은행연합회는 지난달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가 3.69%로 집계됐다고 공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전 달 대비 0.01%p 떨어진 건데, 지난 5월과 6월 두 달 연속 상승하다가 석 달 만에 하락 전환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기준 정기 예금 금리가 떨어진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이는데요. <br /> <br />반면, 잔액 기준 코픽스는 3.8%에서 3.83%로, 신 잔액기준 코픽스도 3.18%에서 3.21%로 각각 0.03%p씩 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 평균금리입니다. <br /> <br />코픽스가 오르면 은행은 그만큼 더 많은 이자를 주고 돈을 확보해야 해 대출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는 반면, <br /> <br />코픽스가 내리면 그만큼 은행이 적은 이자를 주고 돈을 확보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. <br /> <br />시중은행들은 내일부터 신규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에 새 코픽스 금리를 반영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다행히 가계 빚 부담이 조금은 줄어들겠지만, 여전히 급증하는 가계 대출 때문에 금융당국의 고심도 크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지난달 은행권의 가계 대출 잔액은 1,068조 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정부는 경기 침체와 부동산 시장 경착륙을 막기 위해 규제를 완화했는데요. <br /> <br />예를 들어 특례보금자리론과 전세보증금 반환 대출에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, DSR 규제까지 풀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상생 금융을 내세워 대출 금리를 낮추도록 유도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부동산 시장 회복 기대감 커지면서 주택 구입 수요가 덩달아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에는 시중은행이 출시한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에 한 달 만에 1조 원 넘게 몰렸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심상치 않은 가계 대출 증가세에 금융당국이 특례보금자리론 공급 속도를 조절하고, <br /> <br />DSR 규제 우회 점검 등 주택담보대출 관리 강화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은행권을 향해 DSR 규제를 우회하는 수단이 없는지, 상환능력이 부족한 분들에게 과잉 대출을 하고 있지... (중략)<br /><br />YTN 엄윤주 (eomyj101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816162107877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