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중국발 경제 위기 차이나 리스크, 우리 경제에도 직격탄일 수 밖에 없습니다. <br> <br>어디까지 번질지 불안감이 커지면서, 주가는 급락하고 환율은 치솟았습니다.<br> <br>신무경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오늘 코스피는 전일 대비 1.76% 급락한 2525.64에 마감했습니다. <br> <br>중국 부동산 사태가 악화되는 데다 중국 경기 둔화 우려까지 겹친 영향입니다. <br> <br>비구이위안이 상반기 10조 원에 가까운 순손실을 봤다고 공시한 10일 이후 코스피는 4일 연속 낙폭을 키웠습니다.<br> <br>코스닥은 2.59% 폭락했습니다. <br> <br>아시아 증시도 1% 안팎 빠지며 하락을 면치 못했습니다.<br> <br>외환시장도 불안했습니다. <br> <br>원 달러 환율은 6원 오른 1336.9원에 마감했습니다. <br><br>장중 환율은 1341원까지 올랐는데, 1340원을 넘어선 것은 연고점을 찍었던 5월 17일 이후 3개월 만입니다.<br> <br>중국발 리스크에 우리 금융시장이 휘청인 건 한국 경제의 중국 의존도가 높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지난해 우리 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2.8%로, 중국은 우리 최대 수출국입니다.<br> <br>가뜩이나 수출이 10개월 연속 감소세인데, 중국 경기가 침체되면 우리 경제가 직격탄을 맞게 됩니다. <br> <br>[강준영 /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교수] <br>"부동산 건설이라든지 들어가는 중간재들이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거니 한국의 대중 수출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가 있어요." <br> <br>또 글로벌 투자자들의 위험회피 성향이 커지면 우리 증시에서 돈을 빼 안전자산으로 옮겨갈 우려도 커집니다. <br> <br>정부는 올해 한국 경제가 '상저하고'를 보일 것이라 내다보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중국 경제 둔화 영향으로 쉽지 않을 것이라 진단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신무경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장명석 이락균 <br>영상편집: 박혜린<br /><br /><br />신무경 기자 yes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