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의 수출과 내수가 둔화하는 가운데 부동산 위기까지 번지자, 투자 심리가 얼어붙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원-달러 환율은 급등하고, 증시는 변동성이 커진 상황인데요. <br /> <br />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. 이형원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한국거래소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현재 금융시장 상황부터 살펴보죠. 환율은 오르고, 주가는 떨어지고 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중국발 위기감에 원-달러 환율은 급등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환율은 어제보다 5.6원 오른 1,342.5원에 거래를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장중 1,343원을 터치하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지난 5월 17일에 기록한 연고점까지 오른 겁니다. <br /> <br />현재는 1341.5원으로 1340선에서 오르내림을 반복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주식시장도 출렁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코스피는 어제보다 0.5% 내린 2,512.92로 개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장중 낙폭을 키우며 2,500선을 밑돌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코스피가 장중 2,500선을 내준 건 지난 5월 17일 이후 석 달 만입니다. <br /> <br />현재 코스피는 2,510대에서 오르내림을 반복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코스닥은 어제보다 0.36% 떨어진 875.15로 거래를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장중 860대로 내려앉았다가 현재는 880대에서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원화도 약세고 주가도 떨어지고 있는데 왜 그런 겁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중국발 위기가 가장 크게 작용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의 수출과 내수가 모두 급격히 둔화하는 가운데,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가 촉발한 채무불이행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투자심리가 얼어붙은 겁니다. <br /> <br />중국 위기가 곧 우리 시장에 악재가 되는 건데요. <br /> <br />이유는 우리 수출 구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중국은 우리 최대 무역국으로, 대중 수출 의존도는 20%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중국 경기가 나빠진다면우리 수출에도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겠죠.수출이 줄면 우리나라에 유입되는 달러화가 줄게 되고, 또 우리 경기 회복도 더뎌질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위안화 약세에 연동해 원화도 약세를 보일 수밖에 없는 구조인 겁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예상을 뛰어넘는 미국의 경기 회복세도 당장은 반기기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고금리에도 소비와 고용시장이 모두 호조를 보이면서 미국의 긴축 기조가 더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인데요. <br /> <br />지금도 한미 금리 차가 2%p로 역대 최대차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이 금리를 추가로 올린다면 이 차이는 더 벌어지게 되는 건데요. <br /> <br />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면서 환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형원 (lhw90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817144341425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