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령화 시대, 돌봄이 필요한 노인들도 점점 많아지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정부가 돌봄이 필요한 노인들에게 요양시설에 들어가지 않더라도 살던 집에서 충분한 돌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치매가 있는 장기요양 수급자를 돌보는 가족에게 제공돼 온 '가족휴가제'의 지원 대상도 크게 넓히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정훈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자는 약 102만 명. <br /> <br />혼자 일상생활이 어려운 노인을 돌보기 위한 사회보험으로 2027년엔 수급자가 145만 명까지 늘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돌봄을 어디서 받느냐에 따라 요양시설에 입소하는 시설급여와 집에서 돌봄 받는 재가급여로 구분하는데 정부가 재가급여의 상한액을 크게 올리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방문 간호나 방문 목욕 등 재가급여 서비스가 서비스 이용 비중의 77%를 차지하는데, 지원금액은 시설급여에 크게 못 미쳤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올해 기준 1등급 수급자 월 한도액은 재가급여가 188만5천 원, 시설급여가 245만2천500 원으로 시설급여가 30% 가량 많은 것을 2027년까지 같은 수준으로 맞추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서비스 기관 한 곳에서 다양한 재가급여를 포괄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통합재가서비스기관도 현재 31곳에서 천4백 곳까지 크게 늘립니다. <br /> <br />돌보는 가족을 위한 서비스도 확대합니다. <br /> <br />일부 지역에서 제공하던 '가족상담 서비스'를 전국으로 확대하고, 가족들이 쉴 수 있도록 돕는 '가족휴가제'도 치매 환자로 못 박았던 지원 대상을 넓힙니다. <br /> <br />[이기일 / 보건복지부 제1차관 : 치매가족휴가제는 내년부터 모든 중증수급자를 대상으로 장기요양 가족휴가제로 확대하고자 합니다. 이를 위해 모든 1·2등급 재가수급자도 단기보호 또는 종일 방문 요양급여를 이용할 수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3~4인실 중심인 요양시설에 1~2인실을 늘리고 단체 행동이 아닌 자기 집처럼 생활할 수 있는 이른바 유니트 케어(unit care)형 요양시설을 개발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현재 건물과 토지를 소유한 경우에만 설치할 수 있는 노인 요양시설을, 시설이 부족한 도심 지역에서는 민간 임차 설치도 허용하는 것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요양보호사 1명이 돌보는 수급자 수도 현재 2.3명에서 내후년까지 2.1명으로 줄이고 요양보호사 승급제를 도입해 요양 서비스의 품질도 높인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YTN 기정훈... (중략)<br /><br />YTN 기정훈 (prodi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817205840347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