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엔 안보리 6년만에 북한 인권 회의…'심각성 공감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북한 인권 문제가 6년만에 공개적으로 논의됐습니다.<br /><br />중국과 러시아는 북한 편들기에 급급했지만, 상당수 유엔 회원국들은 북한 인권 상황의 심각성에 뜻을 같이했습니다.<br /><br />뉴욕에서 고일환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6년만에 열린 유엔 안보리의 북한 인권 문제 공개회의에선 뜨거운 논리 대결이 펼쳐졌습니다.<br /><br />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는 예상대로 북한을 노골적으로 옹호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은 유엔 안보리가 특정 국가의 인권 문제를 논의하는 건 적절치 않다면서, 결국 지역의 긴장감만 끌어올리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 역시 북한 주민들이 국제 사회의 제재로 고통받고 있다며, 이런 상황에서 "인권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위선"이라고 거들었습니다.<br /><br />우리 측은 "북한 인권 문제를 안보리가 방치할 경우 궁극적으로 국제평화와 안보를 위험에 빠뜨리게 될 것"이라고 반박했습니다.<br /><br />황준국 주 유엔대사는 북한의 핵무기 개발 상황을 언급하며 인권문제와 북핵 문제의 연계성을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어떤 이사국도 북한의 인권상황이 참혹하다는 점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지 못했고,<br /><br />공개회의가 끝난 뒤 열린 약식회견에는 52개국이 이름을 올렸습니다.<br /><br /> "큰 진전을 이뤘지만 북한 (인권) 상황에 관해 아직 갈길이 멉니다. 북한 정권은 스스로의 행동에 책임을 지고 안보리 안보리 결의를 이행하는데 동참할 것을 촉구합니다"<br /><br />앞서 유엔 안보리가 자주권을 침해하고 있다며 강하게 규탄했던 북한은 이번 회의에 불참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의장성명 등 공식 조치는 채택되지 않았지만,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해 국제사회의 여론을 다시 조성했다는 점에서 작지않은 의의가 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.<br /><br />뉴욕에서 연합뉴스 고일환입니다.<br /><br />#유엔 #안보리 #북한_인권 #공개회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