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유엔안전보장 이사회가 6년 만에 북한의 인권 문제를 주제로 공개 회의를 열었습니다.<br> <br>여기에 참석한 탈북민은 "독재는 영원할 수 없다"라며 김정은 위원장을 향해 경고했습니다.<br> <br>이다해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12년 전 탈북한 김일혁 씨. <br><br>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공개 회의에 참석해 참담한 북한 내 실상을 증언했습니다. <br> <br>[김일혁 / 탈북민] <br>"어렸을 때부터 무급으로 농사에 동원됐습니다. 대부분 수확물은 군부대로 갔고 우리에게 남은 건 겨우내 먹고 살 걱정 뿐이었습니다." <br> <br>6분 간 영어로 연설을 하다 마지막에 한국어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향해 일침을 가했습니다. <br> <br>[김일혁 / 탈북민] <br>"독재는 영원할 수 없습니다. 더이상 죄짓지 말고 이제라도 인간다운 행동을 하시기 바랍니다." <br> <br>또, 북한 내 인권을 바로 세워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[김일혁 / 탈북민] <br>"우리 북한 사람들도 인간다운 삶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사람들입니다." <br> <br>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 인권 문제를 주제로 공개회의를 연건 2017년 이후 6년만입니다. <br> <br>한국과 일본,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은 안보리가 북한의 인권 침해에 대해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반면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 인권 문제가 국제 평화와 안보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><br>이번 회의에 북한 대표는 참석하지 않은 가운데, 북한 인권 문제에 공감해 기자 회견에 참여한 국가는 52개국에 달했습니다 <br> <br>채널A 뉴스 이다해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 강 민<br /><br /><br />이다해 기자 cando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