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캠프데이비드, 바이든 미 대통령은 한 번도 외국 정상을 초대한 적은 없지만 지난 현대사 고비고비 외교사의 흐름을 바꾼 역사적인 현장이었습니다. <br> <br>아이젠하워 미 대통령의 손자 이름을 따서 캠프 데이비드가 됐는데요.<br> <br>역사적인 현장 함께 보시죠. <br> <br>김민곤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외국 정상으로 처음 캠프 데이비드를 찾은 인물은 처칠 영국 총리입니다.<br> <br>제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43년, 루스벨트 대통령과 이곳에서 종전을 논의했습니다. <br> <br>[사라 플링 / 미 백악관 역사협회] <br>"루스벨트 대통령이 캠프 데이비드를 휴양지와 함께 외교의 장으로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그 이후 굳어졌습니다." <br><br>1959년에는 아이젠하워 대통령과 흐루쇼프 소련 서기장이 냉전 후 첫 미소회담을 열었고 1978년에는 카터 대통령의 중재로 이스라엘과 이집트 간 중동 평화협상이 이뤄졌습니다. <br> <br>[안와르 사다트 / 이집트 전 대통령 (1978년)] <br>"그 누구도 평화로 향하는 길을 막을 권리는 없습니다." <br><br>이처럼 캠프 데이비드는 세계 외교사의 주요 무대로 자주 활용돼왔습니다. <br> <br>숲 속에 둘러싸여 일반인 출입이 통제돼 정상들이 한결 편하게 담판을 지을 수 있다는 장점 때문입니다.<br> <br>[AP통신 뉴스 (1978년)] <br>"이번 회담에서 기자와 대중들은 캠프 데이비드의 도로에 세워진 차단막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야 했습니다." <br> <br>우리나라 대통령 중에는 2008년 이명박 대통령이 처음 초청됐습니다. <br> <br>부시 대통령과 함께 카트를 몰며 두 나라 유대를 과시했습니다. <br> <br>[조지 부시 / 미국 전 대통령 (2008년)] <br>"운전 잘하네요. 운전 잘해." <br> <br>바이든 대통령이 재임 중 처음으로 한일 정상을 초청하면서 어떤 역사적 합의가 도출될지 세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민곤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 이혜리<br /><br /><br />김민곤 기자 imgon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