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가장 눈길을 끄는 건 단연 안보 분야 협력입니다. <br> <br>한미일 정상은 어느 한 국가에 안보 위협이 생기면 3국이 공동 위협으로 인식하고 맞서는 '3자 협의 공약'을 따로 채택했습니다. <br> <br>사실상 준 방위조약으로 평가받으면서, 한미일 3국 안보 공조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. <br> <br>워싱턴 특파원 연결되어있습니다. <br> <br>[질문1] 이은후 특파원, 형식도 내용도 상당히 이례적인데, 이 공약을 3국이 별도로 체결했다는 건 그만큼 의미가 있다는 뜻이겠죠?<br> <br>[기자]<br>네, 이번에 한미일 정상이 맺은 협의 공약은 불과 다섯 문장이 전부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그 다섯 문장의 무게가 매우 크다는 게 미국의 평가입니다. <br> <br>그동안 한미, 미일 따로 맺었던 방위조약의 의미를 처음으로 한미일로 확대했다는 건데요. <br> <br>백악관 측은 사전 브리핑에서 '의무'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한미일 3국이 도발이나 위협을 받으면 3국이 신속히 정보를 공유하고 대응조치를 조율하는 내용인데요. <br> <br>경우에 따라선 공동으로 무력을 사용할 수도 있다고 해석되는 대목입니다. <br> 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] <br>"3국 간에 방위 협력을 새로운 차원으로 이끌어가는 것이 포함됩니다.우리 국가 중 하나에 영향을 미칠 때마다 정보를 공유하고 대응을 조정할 수 있는 핫라인을 갖게 됩니다." <br> <br>다만 '준군사동맹'이라는 평가엔 부담을 느껴 공식 조약 대신 정치적 공약, 즉 약속 문건을 체결했습니다. <br><br>[질문2] 결국 북한이 가장 큰 위협이 되겠죠? <br><br>[기자]<br>그렇습니다. <br> <br>한미일 정상은 북한의 핵, 미사일에 대응하는 3국 군사훈련을 매년 실시하기로 했는데요.<br> <br>장기적인 훈련 계획도 수립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외교 관계나 정권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겠다는 취지입니다. <br> <br>[한미일 공동기자회견] <br>"3국 간 방어훈련의 중요성에 공감하고, 연간 계획에 따라 한미일 훈련을 실시하기로 합의했습니다." <br> <br>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할 경우 정보를 즉각 공유하는 시스템이 당장 올해 안에 가동됩니다. <br> <br>또 북한의 무기 개발 자금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 해킹 같은 북한 사이버 활동 대응 실무그룹도 신설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정명환(VJ) <br>영상편집 : 이희정<br /><br /><br />이은후 기자 elephant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