폭염 상황에 전기요금이 크게 오르면서 월말 고지서를 걱정하는 분들이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폭염과 혹한 상황에서 냉난방비를 최대한 아낄 수 있는 창호 신기술을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진두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30년이 넘는 복도식 아파트의 통로 쪽 작은 방 <br /> <br />여름에는 열기가, 겨울에는 한기가 드는 이 방 창문에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된 창을 덧댑니다. <br /> <br />기존 유리창과 플라스틱 창 사이에는 3mm 정도의 공기층이 생깁니다. <br /> <br />여름에는 바깥의 뜨거운 열을 막고 겨울에는 내부 따뜻한 공기가 새는 걸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. <br /> <br />[한재용 / 아파트 주민 : 덧유리로 단열 성능이 향상되다 보니까 지금 보셔서 알겠지만, 에어컨 없이 선풍기 하나로 충분합니다.] <br /> <br />플라스틱 재질의 '방풍 재'로 창문 아래 공간도 막는데, 창문을 여닫는 데는 지장이 없습니다. <br /> <br />기존 뽁뽁이와 방풍 테이프를 대체할 수 있는 저렴하고 효과적인 수단입니다. <br /> <br />[최현중 / 건설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: 이중창과 비교하면 건물 에너지 소비량이 약 20% 향상됩니다. 이 기술의 특장점이 다양한 창호에 대응할 수 있어 취약 계층이나 단독 주택 모두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건물 벽에 어두운 빛이 도는 외장재가 붙어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스마트 외장재입니다. <br /> <br />강한 햇살에 건물 외부 온도는 무려 32도까지 치솟았지만, 내부는 24도에 머뭅니다. <br /> <br />이중 창호로 외부 열을 차단하고, 태양전지가 생산한 전기로 히트파이프를 가동해 에어컨 기능을 하도록 한 겁니다. <br /> <br />인공지능으로 데이터를 분석해 온도를 맞춰 놓으면 최적의 운용 방법도 찾아줍니다. <br /> <br />여름과 겨울철, 기존 건물보다 에너지 비용을 30%가량 줄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최경석 /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석연구위원 : 현장에서 간편 시공되기 때문에 인건비 절감, 시공 기간이 짧아 생기는 비용 절감, 거기에 에너지 절감 비용까지 합치면 최대 15년 정도면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….] <br /> <br />전기료가 크게 오르면서 폭염과 혹한마다 고지서 폭탄 걱정이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 <br /> <br />그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신기술도 속속 개발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진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진두 (jd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30820051425630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