韓기업, '포스트차이나' 인도시장 공략에 박차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리나라 기업들이 새로운 해외거점으로 인도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인도가 세계 최대 '인구 대국'인 만큼 내수시장 성장 잠재력이 크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여기에 정치적으로도 안정돼있어 중국을 대신할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주영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현대차는 최근 GM의 인도 탈레가온 공장을 인수했습니다.<br /><br />기존 첸나이 공장과 기아 아난타푸르 공장을 더하면 현대차그룹은 인도시장에서 연간 130만대에 이르는 생산체제를 갖추게 됩니다.<br /><br />이로써 인도는 중국과 미국을 제치고 현대차그룹의 제1 해외 생산거점으로 올라섰습니다.<br /><br />다른 기업들도 인도시장 진출에 적극적입니다.<br /><br />삼성전자는 노이다 지역에 연간 1억대를 생산할 수 있는 세계 최대규모의 스마트폰 공장을, 첸나이 지역에서는 가전 생산공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LG전자는 노이다, 푸네 지역에서 가전 공장을 운영 중이며, 프리미엄 가전 생산 능력 확대를 위해 투자를 늘릴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이처럼 기업들이 인도로 눈을 돌리는 이유는 인도 시장의 성장잠재력이 크다는 판단에섭니다.<br /><br /> "소프트웨어 기반이 워낙 강하기 때문에 앞으로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거라는 거고 인도가 또 광물자원과 인력이 풍부해요."<br /><br />인구가 14억명이 넘고 그 중 청년층의 비중도 높아 내수시장 성장도 기대된다는 평가입니다.<br /><br />미중간 패권경쟁으로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고 있는 만큼 중국을 대신할 대안으로 인도를 택하는 글로벌 기업들도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주영입니다. ju0@yna.co.kr<br /><br />#인도 #현대차그룹 #삼성전자 #LG전자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