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김윤수입니다. <br> <br>정부가 대규모 철근 누락 사태로 국민적 공분을 산 LH와 전관을 고리로 한 이권 카르텔을 뿌리째 뽑기로 했습니다. <br><br>이미 맺기로 한 LH와 전관 업체의 용역계약까지 취소하는 강수를 뒀습니다. <br><br>모두 11건, 648억 원 규모인데, 철근 누락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한 지난달 말 이후에도 LH가 전관 업체에 몰아준 일감입니다. <br> <br>상황이 이렇다 보니 정부는 더 이상 LH 자체 혁신에만 맡겨두지 않고 직접 칼을 들이대는 모양새입니다. <br> <br>전관 업체와의 용역계약을 전면 제한하는 방안도 검토합니다. <br> <br>오늘의 첫 소식은 신무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기자]<br>지난달 31일, LH의 철근 누락 아파트 명단이 밝혀진 이후 오늘까지 약 3주간 LH 전관업체들이 LH의 설계와 감리용역 총 648억 원어치를 쓸어간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전관들의 안전불감증이 주요 이유로 지적됐는데도, '제 식구 퍼주기'가 계속된 겁니다. <br> <br>[원희룡 / 국토교통부 장관] <br>"우선 LH의 전관을 고리로 한 이권 카르텔, 그리고 나아가서는 LH라는 공공의 기능과 업무에 과연 이대로 가도 좋은지." <br><br>이에 정부는 전관업체가 수주한 648억 원 규모의 설계와 감리용역 11건에 대해 계약을 전면 백지화하기로 했습니다.<br><br>전관업체의 경우 계약 참여를 배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전관이 취업할 수 없는 대상 기업도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> <br>하지만 벌써부터 실효성에 의문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<br>한 감리업체에 근무 중인 LH 전관은 채널A와의 통화에서 "감리 인력이 부족해 LH 전관 빼면 남는 사람이 없을 것"이라고 말했습니다.<br> <br>오늘 국토부와 LH가 연 긴급회의에선 LH를 해체해야 한다는 극약 처방까지 나왔습니다. <br> <br>[함인석/ 한양대 건축학부 특임교수] <br>"장기적으로 LH 해체해야합니다. 해체하고 지금처럼 분양해 이익 나는 걸로 공공 주택하는 것은 지방에다 넘기고 중앙에서는 진짜 말 그대로 순수한 공공주택만을 하는 이런 모델로 가야 된다라고 생각을 하고." <br><br>정부는 오는 10월 전관 카르텔 철폐 방안을 발표할 예정인데, LH의 고강도 혁신 없이 전관만 탓해봐야 공염불에 그칠 것이란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신무경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이승헌 <br>영상편집: 차태윤<br /><br /><br />신무경 기자 yes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