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국방부가 집중호우 실종자 수색 중 순직한 고 채 상병 사망 사건에 대한 재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. <br> <br>구명조끼를 입지 않았는데도 허리높이까지 들어가자고 대대장이 지시했다는 겁니다. <br> <br>외압 논란이 있었던 임성근 1사단장은 혐의를 적시하지 않고 경찰에 넘기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국회에선 국방부 장, 차관과 야당이 공방을 벌였습니다. <br> <br>김민곤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 지난 2일 경찰에 이첩된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 기록을 다시 넘겨받은 국방부 조사본부가 2명만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를 적용해 경찰에 넘기기로 했습니다. <br><br> 해병대 수사단이 혐의자로 판단한 8명 가운데 선임급 대대장과 채 상병 직속 대대장 등 2명이 장화 높이까지만 입수 가능하다는 여단장 지침을 어겼다고 본 겁니다.<br><br> 조사본부 관계자는 "선임 대대장 1명이 임의로 '허리 높이까지 가자'고 지시했고 채 상병 직속 대대장은 이를 수용해 부대에 지시했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[이종섭 / 국방부 장관]<br>"국방부 조사본부 재검토 결과 해병대수사단이 8명 모두를 업무상과실치사 범죄 혐의자로 판단한 조사 결과는 과도한 것으로 판단됐습니다." <br> <br>임성근 1사단장과 박상현 여단장을 포함한 4명은 혐의는 제외하고 사실 관계만 적시하기로 했습니다. <br><br>조사본부는 "문제가 식별됐으나 현재 기록만으로는 혐의 특정이 제한됐다"며 "경찰에서 필요한 조사가 진행될 것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> <br>같은 수색조 간부 2명은 현장 통제 임무가 없다고 판단해 혐의자에서 제외했습니다. <br> <br>결국 외압 의혹의 당사자인 임 사단장과 박 여단장은 제외돼 논란은 거세질 전망입니다. <br> <br>[김영배 / 더불어민주당 의원] <br>"1사단장을 보호하기 위해서 대통령실, 장관 등이 직접 개입한 사건 아니냐…" <br> <br>[이종섭 / 국방부 장관] <br>안보실 1차장도 지금의 1사단장하고 얼굴도 모르는 관계고 (저도 1사단장과) 청와대 수백 명 중 2명으로 근무한 적 있지만 그 이후로 한 번도 전화하거나 만난 적 없습니다. <br> <br> 국민의힘은 수사단장의 항명을 정쟁화하지 말라고 맞섰습니다. <br> <br>[장동혁 / 국민의힘 의원] <br>"정당한 절차와 계통을 따라서 따지면 될 문제입니다. 득달같이 갑자기 방송에 나가서 인터뷰하는 것이 명예로운 모습인지…" <br><br>조사본부는 오늘 오후 재검토 결과를 유족에게 직접 설명하고 이해를 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민곤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장명석 <br>영상편집: 이혜진<br /><br /><br />김민곤 기자 imgon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