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국가정보원은 더 있는지 중국산 장비 1만 개를 전수 조사 중입니다. <br> <br>스파이칩이 숨겨진 중국산 장비 논란은 이미 미국에서 한바탕 벌어졌는데요. <br> <br>중국산 크레인 전체를 퇴출시키려는 움직임이 있습니다. <br> <br>이동은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항구와 선박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옮기는데 활용되는 중국산 대형 크레인입니다. <br> <br>저렴한 가격을 내세운 중국 대형 크레인 회사 '상하이전화중공업'이 미국 크레인 시장의 약 80%를 차지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미국 국가안보 부처는 이 중국산 대형 크레인 장비가 '잠재적 스파이 도구'가 될 수 있다며 조사에 착수했습니다. <br><br>이 크레인에 달려 있는 정교한 센서가 미군의 해외 작전에 동원되는 물자 정보 수집에 활용될 수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미 하원에서는 중국산 크레인 구매 자체를 금지하는 법안이 발의돼 논의 중입니다. <br> <br>앞서 미국은 안보 우려를 이유로 5G 네트워크에서 중국 화웨이 통신장비 사용을 금지했고, 중국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 '틱톡'도 같은 이유로 정부기관과 대학에서 퇴출시켰습니다. <br><br>지난 주말 한미일 정상 3국이 핵심 첨단 기술 탈취 시도를 막기 위한 3국의 협력 강화에 합의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입니다.<br> <br>[한미일 공동 기자회견 (지난 18일)] <br>"또한 우리는 첨단기술 분야 협력을 확대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해 나갈 것입니다." <br> <br>국정원은 현재 공공기관에 납품된 1만여 개의 중국산 장비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있는데, 그 결과를 올해 하반기에 발표할 예정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동은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한규성 <br>영상편집 : 오성규<br /><br /><br />이동은 기자 story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