갈 곳 없는 조현병 청소년…"대안학교만 열 번 옮겨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주로 환청이나 망상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조현병 환자는 치료와 함께 사회 적응과 관리도 중요합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조현병 청소년들의 경우, 장애인으로 분류되지만 특수교육은 받을 수 없는 특이한 처지인데요.<br /><br />일반학교에 적응이 힘들어 소외되고 상태가 심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.<br /><br />홍서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A씨의 딸은 중학교 1학년 때부터 8년째 조현병을 앓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처음 증세가 나타난 뒤, 병원에 가기까지 6개월이 걸렸습니다.<br /><br /> "모든 게 무섭다고 하면서 학교를 안 가기 시작했어요. / 6개월 만에 정말 억지로 아이를 업고 가다시피 해가지고…"<br /><br />중학교를 자퇴한 딸을 데리고 대안학교를 전전했지만, 결국 포기했습니다.<br /><br /> "그냥 우울증으로 약을 먹고 있다, 이 정도면 솔직히 대안학교에서도 받아주겠다 했는데 아이가 한 열 군데를 옮겼는데 단 한 군데도 적응을 못하고 다 나왔어요."<br /><br />조현병은 장애인복지법상 장애의 한 종류지만, 정작 특수교육 대상에선 빠져있습니다.<br /><br />일반학교를 다닐 수밖에 없는 처지지만, 당연히 적응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.<br /><br /> "사회성 없는 건 기본이고요. 위클래스 선생님도 할 수 있는 게 없어요. 너 상담 와라, 그게 끝이거든요. 아이가 안 간다, 끝이에요."<br /><br />조현병은 제대로 약물 치료만 받는다면 위험성이 낮아져 집단 생활이 가능하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교육을 받아야 할 시기에 학교에서 이탈하면 사회에서 더 소외되며 증상이 악화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 "삶에서의 예후가 점점 나빠지고, 그러면서 본인과 가족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서도 전체적인 건강의 위협…"<br /><br />정신장애에 대한 이해가 높은 상담교사의 배치와 함께, 이들의 사회 적응을 위해 특수교육법상 병원학교를 늘리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홍서현입니다.<br /><br />hsseo@yna.co.kr<br /><br />#조현병 #정신질환 #청소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