올해 2분기 가계 빚이 3분기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부동산 경기 회복 기대감에 주택 수요가 늘어나면서 주택담보대출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. 엄윤주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국은행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난 1분기만 하더라도 가계 빚이 사상 최대로 감소했는데, 다시 늘어났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올해 2분기에만 10조 원 가까이 불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행 자료를 보면 올해 2분기 가계신용 잔액은 1,862조 8천억 원으로 1분기보다 9조 5천억 원 늘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가계 신용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이 크게 늘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잔액 기준 1,031조 2천억 원으로 역대 최대 기록을 세우면서 전체 가계 신용을 끌어올린 겁니다. <br /> <br />증가 폭도 1분기의 3배를 웃돌았습니다. <br /> <br />무엇보다 주택 거래 회복 영향으로 가계 대출 수요가 늘어난 영향이 큽니다. <br /> <br />실제 전국 주택매매 거래량은 지난해 4분기 9만 1,000가구에서 올해 1분기 11만 9,000가구, 올해 2분기 15만 5,000가구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. <br /> <br />반면,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 대출은 1분기보다 4조 원 줄며 7분기 연속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감소 폭이 한 분기 만에 10조 원 넘게 급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5월 가정의 달과 같은 계절적 요인과 함께 주식 투자 자금으로 활용되는 증권사 신용 공여가 늘어나면서 감소세가 둔화한 겁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카드를 쓰고 아직 대금을 납부하지 않은 경우도 사실상 빚으로 잡히는데요. <br /> <br />이걸 판매 신용이라고 하는데, 캐피탈업계 등 할부 금융회사의 리스크 관리 강화 영향으로 전반적으로 줄긴 했지만, 신용카드 사용액이 늘면서 전체 판매신용 감소액은 1분기보다 5분의 1 넘게 축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높은 금리에도 가계 빚 감소세가 불과 두 분기 만에 끝나면서 한국은행도 추이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단, 한국은행은 2분기 가계 신용 증가 규모가 과거 2020∼2021년 분기별 30조 원 이상 증가했던 시기와 비교하면 높은 편은 아니지만, 작지 않은 규모라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다시 가계 대출이 증가로 전환한 만큼 한국은행과 정부, 관계 당국이 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이 더 높아지지 않도록 단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도 향후 가계 대출 흐름에 대해서는 주택 경기 회복 양상과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엄윤주 (eomyj101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822165944556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