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은행이 내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이번에도 기준금리를 연 3.5%로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. <br /> <br />환율과 가계 빚 오름세가 걱정이지만, 중국발 위기에 하반기 경기 회복이 불투명해졌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이형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월부터 연 3.5%에 묶인 기준금리가 이번에도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불씨가 살아있긴 하지만 물가 둔화 흐름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중국발 위기로 우리 경기 회복에 빨간불이 켜지면서 5연속 동결 전망을 높였습니다. <br /> <br />최대 무역국인 중국 경제 부진에 하반기 수출이 크게 반등하지 못할 가능성이 커진 겁니다. <br /> <br />금리 동결과 함께 올해 성장률 전망치도 기존보다 낮출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는 이윱니다. <br /> <br />[이상호 /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조사팀장 : 중국에 대한 (우리나라) 수출 증가 기여도가 둔화하면서 저희 기관은 1.3%로 (성장률을) 예상했는데, 한은에서는 아마 1% 초반대로 하향 조정하는 것은 불가피하지 않느냐….] <br /> <br />다만 연고점에 다가선 환율 오름세는 변수입니다. <br /> <br />중국 침체에 따른 위안화 약세에 원화 값도 떨어지고 있는데, 앞으로가 더 문제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 긴축 기조가 계속된다면 한미 금리 차가 더 벌어져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 환율이 더 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1,060조 원을 훌쩍 넘어선 가계 빚 오름세도 부담입니다. <br /> <br />[이창용 / 한국은행 총재 (지난달) : 미 연준이 과연 금리를 몇 번 더 올릴지, (또) 가계 부채가 어떻게 움직일지 이런 것들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금리를 올려둘 가능성도 열어둬야 한다….] <br /> <br />이 같은 점을 고려해 지난달 한국은행은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에 선을 긋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이번에도 금리 동결 발표와 함께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둘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YTN 이형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박정란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형원 (lhw90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823051439598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