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염수 방류 시작…계획대로 방류하는지 관건 <br />장기간 방사성 노출에 의한 해양 영향 연구 없어 <br />"오염수 방류, 30년보다 길어질 수 있다" 우려 <br />고선량 방사성 찌꺼기 제거 위한 로봇 개발 더뎌<br /><br /> <br />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12년 만에 오염수가 결국 바다로 방류되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제는 일본의 오염수 관리가 약속한 대로 진행되는지, 지금까지 드러나지 않았던 새로운 위해가 발생하지는 않는지, 합리적인 의문과 검증을 끊임없이 해야만 하는 과제가 전 세계에 남겨졌습니다. <br /> <br />양훼영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원전 오염수의 해양 방류는 인류 역사상 처음 있는 일입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가 떠안은 1차 과제는 일본이 대외에 공표한 대로 실제 방류를 제대로 관리하느냐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계획대로 진행된다 해도 장기간에 걸친 오염수 방류가 실제 해양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현재로써는 완벽히 알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다핵종제거설비, 알프스 처리 후에도 오염수 속에는 삼중수소를 포함해 미량의 방사성 물질이 남아있는데, 낮은 농도라도 장기간 노출로 인한 해양 생태계 영향은 아직 연구된 바가 없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이정윤 / 원자력과 미래 대표 : 거기(오염수)에 들어가는 핵종들이 사실상 삼중수소만 들어갔다고 볼 수가 없거든요. 30년, 40년, 50년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이것을 평가해야 되는데, 그것이 안 돼 있다는 것이고] <br /> <br />일본이 오염수 방류 기간을 30년으로 계획하고 있지만, 이보다 길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폭발한 원자로를 철거하는 폐로 작업이 마무리되지 않는 한 오염수는 계속해서 매일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오염수 발생을 줄이려면 원자로 내에 있는 고선량의 방사성 찌꺼기를 제거해야 하는데, 여기에 투입될 로봇 개발이 더딘 데다가 이미 두 차례 실패한 바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염수 해양 방류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가 되지 않으려면 새 오염수 발생을 완벽히 막거나 폐로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 확정 또한 시급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오염수 해양방류의 안전성에 대한 집요한 의문과 검증은 방류가 끝나는 날까지, 더 나아가 그 이후에도 계속돼야 할 과제로 남았습니다. <br /> <br />YTN 사이언스 양훼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양훼영 (hw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30824175422785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