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 등 신흥 경제 5개국 협의체인 브릭스가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, 아랍에미리트, 아르헨티나, 이집트, 에티오피아의 새 회원국 가입을 승인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로써 브릭스 회원국은 모두 11개 나라로 늘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브릭스 의장국인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은 현지시간 24일 요하네스버그 샌튼 컨벤션센터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라마포사 대통령은 이들 새 회원국들은 러시아가 의장을 맡는 내년부터 정식 회원국으로 활동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자회견에 함께 자리한 룰라 브라질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,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그리고 화상으로 참여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한목소리로 이들 6개국의 지도자와 국민에 축하의 뜻을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시진핑 주석은 "이번 정상회의에 의미 있는 결실을 도출할 수 있게 노력해준 라마포사 대통령과 남아공 정부에 사의를 표한다"며 "이는 국제사회에 신흥국과 개도국의 공동 이익을 향한 브릭스 회원국의 결심을 보여준다"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"세계 평화와 개발을 위해 브릭스의 구조를 더욱 발전시켜 나갈 것으로 확신한다"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남아공 국제관계협력부에 따르면 사우디를 포함해 22개국이 공식적으로 브릭스 가입을 요청했습니다. <br /> <br />비공식적으로 관심을 표명한 국가까지 포함하면 40개국이 넘습니다. <br /> <br />남아공은 이번 회의에서 브릭스 확장을 위한 원칙과 기준, 요건, 지침, 절차 등을 담은 문서를 마련해 정상들에게 제출했습니다. <br /> <br />각국 정상들은 이를 토대로 23일 예정된 기자회견까지 취소하고 장시간의 토론 끝에 6개 신규 정식 회원국 가입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브릭스는 회원국이 11개국으로 늘더라도 기존 5개 회원국 이름의 첫 알파벳을 딴 명칭은 유지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2009년 브라질, 러시아, 인도, 중국 등 4개국을 주축으로 출범한 '브릭'(BRIC)에 2010년 남아공이 가세하며 현재의 '브릭스'(BRICS)가 됐습니다. <br /> <br />유엔개발회의(UNCTAD)에 따르면 브릭스는 현재 5개 회원국만으로도 이미 전 세계 인구의 42%, 영토의 26%, 국내총생산(GDP)의 23%, 교역량의 18%를 차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원배 (wb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825063603818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