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현장 파출소의 치안 인력 공백은 이미 현실화돼 있습니다. <br> <br>파출소 바로 앞 금은방에서 절도 사건이 벌어졌는데도 출동할 순경이 없고요.<br><br>문 닫는 치안센터까지 생겨나며 주민들 불안이 큽니다. <br> <br>공국진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앳돼 보이는 남성 두 명이 금은방 앞을 서성입니다. <br> <br>한동안 주변을 살피더니 가방에서 망치를 꺼내 출입문을 부숩니다. <br> <br>망치로 진열장을 박살 낸 뒤엔 귀금속을 가방에 쓸어 담습니다.<br><br>범행에 걸린 시간은 30여 초에 불과합니다. <br> <br>광주 충장로 금은방에 3인조 절도범이 침입한 건 오늘 새벽 1시 50분쯤. <br> <br>[피해 금은방 주인] <br>"3층에 있는데 벨 소리가 나더라고. 창문 열고 도둑이야 외쳤어요. 한 5번을." <br><br>경찰은 범행 4시간만에 3인조 절도범을 붙잡았는데 모두 10대 청소년들이었습니다. <br> <br>이들에게 털린 금은방 바로 길 건너편엔 충장 치안센터가 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텅텅 비었습니다. <br> <br>예산과 인력난 등으로 지난해 11월 부터 사실상 폐쇄됐습니다. <br> <br>[경찰 관계자] <br>"원래 예전에 평일 주간에만 근무했었는데, 그 인원이 이제 배치가 안 된 것뿐이지 폐쇄까지는 아니에요.' <br> <br>60여 개의 금은방이 몰린 이 거리에선 지난해 12월에도 초등학생이 가담한 금은방 절도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치안센터가 문 닫은 직후입니다. <br> <br>[금은방 업주] <br>"저기 (충장치안센터)가 상징적인 자리예요. 금은방한테는요. 왜냐면 이 자리가 웬만하면 안 털려요." <br> <br>[정현주 / 광주 충장로 4가 번영회장] <br>"충장치안센터를 폐쇄 조치하면서 이런 강력 사건이 일어나지 않는가…, 지속적으로 존치하면서 24시간 근무를 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." <br> <br>광주지역에선 최근 충장 치안센터를 비롯해 3곳이 운영을 중단하면서 주민들은 치안공백을 우려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공국진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정승환 <br>영상편집 : 이희정<br /><br /><br />공국진 기자 kh247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