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이 지난 24일 실패로 끝난 2차 군사정찰위성 발사 관련 소식을 북한 주민들에게 알리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내부적으론 경제난에 시달리는 북한이 군사 분야에서 성과를 내는 데도 실패하면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리더십에도 타격이 있는 것 아니냔 분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최두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두 번이나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실패한 북한. <br /> <br />대외용 매체엔 발사 당일 실패 사실을 신속하게 알렸지만, 정권에 부담 요소로 판단한 탓인지 북한 주민들이 보는 매체엔 이틀째 관련 소식을 전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군사 분야에서 정찰위성 발사가 실패한 만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리더십에도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란 평가 속에, 북한은 3차 발사 시점을 10월 노동당 창건일 전후로 잡았습니다. <br /> <br />[왕선택 / 한평정책연구소 글로벌외교센터장 : (2차 정찰위성 실패는) 북한의 최고 지도부가 조급한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고. 어쩌면 기술적인 결함이 문제가 아니라 정치적인 의사 결정 체계의 문제가 더 큰 문제일 수 있다.] <br /> <br />계속되는 식량난으로 인해 북한의 경제 상황도 악화 일로입니다. <br /> <br />이렇다 보니 군사위성 발사 전 김 위원장은 김덕훈 내각 총리에게 국가경제사업을 다 말아먹고 있다며 경제난의 책임을 돌렸고, 북한 매체는 간부들에게 군인처럼 육탄정신을 체질화하라고 연일 다그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각에선 군사정찰위성의 거듭된 실패로 초조해진 북한이 한미연합훈련을 전후해 사이버 해킹과 같은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마저 제기됩니다. <br /> <br />[조한범 /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: 북한도 무제한적인 도발보다는 (해킹과 같은) 경제적 도발에 주력하고 있고요. 따라서 당분간 정찰위성 발사에 주력하면서 존재감을 보여주는 정도의 도발은 (할 것으로 보입니다.)]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지난해 11월 이후 공식 석상에 자주 등장했던 김 위원장의 딸 김주애는 지난 5월 김 위원장과 군사정찰위성을 시찰한 것을 끝으로 3개월 넘게 공식 석상에서 자취를 감췄습니다. <br /> <br />YTN 최두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두희 (dh022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0826172741997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