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검찰이 대규모 환매 중단을 불러온 '라임 사태' 재수사에 본격 착수했습니다.<br> <br>여의도 금융범죄를 전담하는 '여의도의 저승사자', 서울남부지검 금융·증권 범죄 합동수사부가 그 전면에 섰습니다. <br> <br> 금감원에서 확보한 자료를 분석 중인 검찰은 '특혜성 환매' 여부 수사에 주력할 방침입니다. <br><br>손인해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서울남부지검은 지난 24일 금융감독원을 압수수색하고 라임 펀드 관련 기록을 확보했습니다. <br> <br>지난 2019년 펀드 돌려막기 과정에서 대규모 환매 중단으로 이어진 라임 사태는 피해 투자자 4000여 명, 환매 중단 금액 1조5000억 원으로 단군 이래 최대 금융 사기로 불립니다.<br> <br>문재인 정부 시절 봐주기 수사 의혹이 불거졌는데,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뒤 재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겁니다. <br> <br>특히 최근 금감원이 환매 중단 직전 라임자산운용이 일부 유력 인사들에게만 돈을 돌려준 의혹이 있다고 밝히면서 새 국면으로 접어들었습니다. <br> <br>[함용일 / 금융감독원 부원장(지난 24일)] <br>"다른 펀드 자금 125억 원과 운용사 고유 자금 등을 이용해 일부 투자자들에게 특혜성 환매를 해줌으로써 4개 펀드 투자자의 손실을 다른 펀드 투자자에게 전가했습니다."<br> <br>이 과정에서 김상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투자금 2억 원의 일부를 돌려받았다는 논란과 함께, 정치권으로 불똥이 옮겨 붙었습니다. <br> <br>김상희 의원은 "미래에셋에 자산을 맡기고 손해를 봤을 뿐 특혜 환매를 한 적 없다"고 반박하고 있습니다.<br> <br>검찰은 금감원으로부터 확보한 라임의 60여개 펀드 전체를 들여다보고, 유력 인사에게 실제 특혜성 환매가 있었는지 조사할 방침입니다. <br> <br>이 과정에서 또다른 유력인사가 확인될 경우 정관계 로비 의혹으로 번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손인해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이승은<br><br><br /><br /><br />손인해 기자 so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