항구나 포구는 선박이 드나드는 길이어서 아무나 들어가 수영을 하면 안 됩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도 날씨가 덥다 보니 항포구에서 물놀이하다가 사고를 당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해경의 단속이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KCTV 제주방송 김경임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귀포시 보목포구. <br /> <br />해경이 포구 중간에 떠 있는 남성에게 급히 헤엄쳐가고, 남성의 의식을 확인하며 구조작업을 벌입니다. <br /> <br />[이제 올라왔다. 가슴 압박해 가슴 압박. 가슴 압박해 빨리.] <br /> <br />지난 6일, 서귀포시 보목포구에서 물놀이를 하던 친구가 보이지 않는다는 신고가 접수됐습니다. <br /> <br />해경과 소방이 19살 A군을 구조해 병원으로 옮겼지만 결국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무더위가 이어지는 가운데 항포구에서 물놀이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제주시 신촌포구. <br /> <br />물놀이객들로 북적입니다. <br /> <br />튜브에 각종 장비까지 챙겨와 물놀이를 즐깁니다. <br /> <br />SNS를 통해 도내 포구들이 특별한 물놀이 장소로 알려지면서 발길이 이어지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이곳은 선박이 드나드는 항포구로 수영이 금지된 장소. <br /> <br />수영을 하면 안 된다는 표지판이 설치돼 있지만 아랑곳하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인근에 있는 또 다른 포구에서는 다이빙이 한창입니다. <br /> <br />앳된 얼굴의 학생들이 줄지어 물속으로 뛰어듭니다. <br /> <br />자칫하면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. <br /> <br />이에 따라 해경이 도내 항포구를 순찰을 강화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배들이 수시로 드나들고 수심이 깊어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, 특히 대부분의 항포구에는 안전요원이 배치돼 있지 않아 사고가 발생하면 신속한 대처가 어렵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해양경찰 구조대 : 여기서 수심 깊어서 다이빙하면 안 돼 여기서는. 할 거면 저기 (수심) 낮은 데 가서 들어가서 물놀이하는 게 좋을 것 같거든. 여기서는 물놀이하지 말고 알았지?] <br /> <br />문제는 물놀이객을 적발하더라도 별다른 처벌을 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명확한 법적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는 사이 항포구에서의 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3년 사이 도내 항포구에서 발생한 익수사고는 모두 60건. <br /> <br />이로 인해 13명이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[김대현 / 제주해양경찰서 구조대 : 항포구는 선박 등이 출입하는 곳으로 안전요원이 배치돼 있지 않아 통제가 어렵습니다. 또한 항포구의 수심을 알 수 없어 다이빙 등으로 인한 사고나 구명조끼 미착용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경임 kctv (yhk55522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082623121125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