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국 광역시 가운데 지하철 등 도시철도가 없는 곳은 울산이 유일했는데 앞으로 6년 후면 사정이 달라질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울산에 노면전차, 즉 트램을 건설하는 사업이 정부의 타당성 인정을 받았는데 그것도 청정연료인 수소를 사용하는 전차라고 합니다. <br /> <br />JCN 울산중앙방송 전우수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울산시의 숙원 사업 중 하나인 울산도시철도 1호선 건설사업이 기획재정부의 타당성 재조사를 통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광역시 가운데 유일하게 도시철도가 없는 울산. <br /> <br />교통여건이 전국 최악인 울산에 도시철도 건설이 필요하다는 울산시의 주장에 대해 정부가 손을 들어준 겁니다. <br /> <br />울산시가 지난 2020년 12월 기획재정부에 타당성 재조사를 신청한 지 2년 8개월여 만입니다. <br /> <br />[김두겸 울산시장 : 울산도시철도 1호선이 정부이 타당성재조사를 통과하고 마침내 사업 추진을 확정하게 됐습니다. 시민 여러분께 새로운 교통수단을 제공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의 발전 기반을 마련하게 됐습니다.] <br /> <br />사업의 경제성이 기준을 넘지 못하면서 자칫 심의를 통과하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김두겸 시장이 광역단체장으로서는 드물게 평가위원회 심사장에 직접 나서서 도시철도 도입에 대한 시민의 열망를 전하고, 열악한 교통환경 개선 필요성의 절박함을 호소한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[김두겸 울산시장 : (평가위원들에게 설명하기를, 늘어나는) 노인인구에 대한 수송 분담이라든지 도시 환경 활성화라든지 이런 부분을 보고 저희가 (트램 도입에 따른 적자를) 감내하겠다.] <br /> <br />울산시가 선택한 도시철도는 노면전철인 트램으로 세계에서 처음으로 수소로 동력을 얻습니다. <br /> <br />수소 인프라를 활용한 울산의 또 다른 관광상품으로의 부각이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태화강역을 출발해 공업탑과 옥동, 문수경기장, 울산대학교를 거쳐 신복로터리까지 길이 10.99km에 15개의 정거장이 예정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체 5량에 최대 245명이 탑승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배차간격은 10분, 이동시간은 27분대면 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총 사업비는 국비 60%, 시비 30% 등 모두 3천297억원이 투입됩니다. <br /> <br />실시설계 등의 과정을 거쳐 2026년 착공해 2029년 개통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울산시는 나머지 2호선에서 4호선까지의 건설사업은 순차적으로 추진하되, 도시철도망 구축 당시와 달라진 도시여건 등을 감안해 노선 등에 대한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전우수 jcn (yhk55522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0827031948313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