풍력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시설 보급이 활발한 제주에서는 종종 전기가 과잉생산돼 전력계통에 문제가 생기곤 합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는 전기를 버리는 출력제어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해왔는데 내년부터는 대규모 ESS, 에너지 저장장치를 도입해 남는 전기를 버리지 않고 다시 쓸 수 있게 한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KCTV 제주방송 최형석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제주에서 수요를 초과하는 전력이 생산되면서 출력을 제어하는 상황이 빈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5년 3차례에 불과했지만 지난해는 무려 132차례에 달할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출력제어 문제는 2021년부터 전기농사로 일컫는 민간 태양광 발전이 본격화되고 재생에너지 보급이 20%를 넘어서면서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른 대책과 보상방안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전력계통 포화와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문제가 가장 시급하다고 판단되는 제주에 장주기 에너지저장치 설비를 도입하기로 하고 사업자 모집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시설 용량은 65MW를 4시간 동안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규모입니다. <br /> <br />[문용혁 / 제주도 신재생에너지팀장 : 배터리에 저장해 놔뒀다가 그 이후에 저녁에 전기가 더 필요로 할 때는 전기를 4시간 동안 계속 방전하는 그런 장치가 됩니다.] <br /> <br />사업자는 설비를 건설, 운영하고 15년 동안 낙찰가격으로 보상을 받게 됩니다. <br /> <br />현재 필요한 100MW에는 부족한 용량이지만 제주계통 안정화에 어느 정도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남아도는 전력을 육지로 역송이 가능한 제3해저연계선도 올해 완공될 예정이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제주도는 궁극적으로 그린수소 생산 체계와 연계해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문제를 해소한다는 구상입니다. <br /> <br />[문용혁 / 제주도 신재생에너지팀장 : 전기를 수소로 저장했다가 중요한 시기에 전기로 다시 활용하는 그런 것들도 계획에 포함돼 있습니다. 그런 것들이 제주도의 재생에너지 출력제어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보고있습니다.] <br /> <br />제주도는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따라 오는 2026년까지 모두 160㎿ 규모의 에너지저장장치 설비를 구축해 운영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이를 통해 출력제어 문제 해소는 물론 제주의 그린수소 생산 안정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KCTV뉴스 최형석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형석 kctv (yhk555222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0827044009298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