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코로나19 사태로 국경을 걸어 잠근 북한이 3년 7개월 만에 오늘 국경 개방을 알렸습니다. <br> <br>북한 경제 상황이 악화되는 가운데 국경 개방을 통해 식량난을 해소하고 주민들의 불만을 잠재우려는 의도라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> <br>이준성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[김동건 / 북한 보건성 국장(2020년 1월)] <br>"국경 통과 지점서 검사 검역 사업을 보다 짜고 들게(빈틈없이)…." <br> <br>북한의 국경 개방은 코로나19 사태 확산으로 국경 문을 걸어 잠근 지 3년 7개월 만입니다. <br> <br>조선중앙통신은 북한 국가비상방역사령부가 "세계적인 악성 전염병 전파 상황이 완화돼 해외에 체류하던 북한 국적자들의 귀국이 승인 됐다고 통보했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또 "귀국자들은 1주일간 격리 시설에서 철저한 의학적 감시를 받는다"고도 덧붙였습니다.<br><br>북한은 지난해 8월 '방역전쟁 승리'를 선언했지만, 국경 폐쇄 조치는 이어져 왔었습니다.<br><br>변화가 감지된 것은 올해 7월,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하고 전승절을 맞아 러시아와 중국 대표단이 북한에 입국했습니다. <br> <br>최근 중국 베이징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항공편을 열었으며, 중국 단둥에 트럭과 열차 등을 보내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이번 조치로 중국이나 러시아 등에 머물던 북한 노동자나 유학생, 외교관의 귀국도 본격화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다만 해외 관광객까지 확대는 시간이 다소 걸릴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. <br> <br>전문가들은 아사자가 급증하는 가운데 북한의 국경 개방은 심각한 식량난 타개를 위한 것이 더 큰 목적이라고 말합니다. <br> <br>[양무진 /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] <br>"(김정은의) 경제과업 달성을 위해 국경 개방이 시급하다는 반증이고, 주민들의 경제난에 대한 불평, 불만을 잠재우려는 의도도 담긴 것으로 분석합니다." <br> <br>국경 개방으로 탈북자가 더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중국 내 탈북민의 강제북송도 재개될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준성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김근목 <br>영상편집 : 배시열<br><br /><br /><br />이준성 기자 jsl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