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 내 반일감정 길어질 듯…기시다·리창 회담 불투명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이후 중국 내 반일 감정이 격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다음 달 인도네시아에서 열리는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에 맞춰 추진되는 리창 중국 총리와 기시다 일본 총리 회담이 무산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임광빈 특파원, 중국 내 반일 감정이 어느 정도인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일본 도쿄전력이나 일본 의회 등에 항의 전화를 하는 장면이 중국 SNS에 잇따라 올라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일부는 오염수 방류와 상관 없는 일본 내 식당 등에도 무차별 항의 전화를 걸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(일본어/여보세요) 영어 할 수 있어요? 영어 할 수 있어요? 물어봅시다. 왜 방사능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는 거에요?"<br /><br />일본 매체들은 주중 일본대사관, 일본인 학교 등에 중국인들이 던진 돌맹이가 날아들었다는 내용을 보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장기전을 각오할 필요가 있다는 일본 외무성 간부의 인터뷰도 전했습니다.<br /><br />상황이 심각하다고 판단한 일본 정부는 중국 내 일본인과 외교 공관에 대한 안전 확보를 요구하며 중국에 항의했습니다.<br /><br />이 같은 문제 제기에 중국 정부는 별다른 언급을 안 하는 대신, 이번 사태의 책임은 일본에 있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중국은 일관되게 법에 따라 중국에 있는 외국인의 안전과 합법적인 권익을 보호했습니다. 또 강조하고 싶은 것은 일본 정부가 국제사회의 강한 의구심과 반대를 무시하고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오염된 물을 일방적으로 방류했다는 겁니다."<br /><br />중국 매체들은 항의 전화 등에 대해 개인의 일탈일 뿐이라면서, 중국인들의 분노를 일본이 과장해 전달하면서 관심을 전환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내 반일 감정이 격해지는 가운데, 다음 달 초순에 인도네시아에서 열리는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에 맞춰 추진돼 온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리창 중국 총리의 회담의 무산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과 중국이 첨단기술 수출 통제와 무역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실무협의체를 만들고 곧장 첫 회의를 열었습니다.<br /><br />정기적으로 만나 정보를 교환하기로 약속했는데, 갈등의 실타래를 풀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중 상무장관이 수출 통제와 관련한 정보교환을 위해 차관보급 실무협의체를 만들기로 뜻을 모았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이 협의체가 '국가안보 정책에 대한 오해를 줄이기 위한 플랫폼'이라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 "수출 통제와 관련해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명확히 하고, 투명성을 높이는 협의체가 될 것입니다."<br /><br />미국은 지난해 10월 중국에 대한 반도체 수출규제에 나섰고, 중국도 미국 반도체기업 마이크론에 대한 제재와 더불어 갈륨 등 차세대 반도체 원료에 대한 수출통제로 맞섰습니다.<br /><br />양국이 실무협의체 구성에 합의한 것은 안정적인 경제·무역관계 유지가 양국의 이익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 공감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러몬도 장관은 국가안보 문제에서는 타협하거나 협상하지 않는다면서도, 수출 통제 대상은 매우 좁게 설정됐으며 중국의 경제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도 중국과의 관계를 끊을 수 없다고 여러차례 밝힌 미국이 이를 실천에 옮기기를 바란다고 답했습니다.<br /><br />곧장 첫 실무협의체가 열린 가운데, 마이크론은 중국 당국의 제재를 받은지 석달 만에 대관 업무 책임자를 임명하고 중국과의 관계 개선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미중 양국은 경제·무역 분야를 논의할 차관급 실무협의체도 만들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 "중국과 미국의 무역 및 경제관계는 양국뿐 아니라 세계 경제와 무역관계와도 관련이 있습니다."<br /><br />러몬도 장관은 방중 셋째날인 오늘(29일) 후허핑 중국 문화여유부 부장, 경제 분야를 담당하는 허리펑 부총리 등을 만나 현안을 논의했습니다.<br /><br />베이징에서 연합뉴스TV 임광빈입니다.<br /><br />#일본 #오염수 #중국 #미국 #수출통제 #갈등 #관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