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 이틀에 걸쳐 호주에서 진행 중인 CCS 기술 실증사업과 상업화 현장을 전해드렸는데요. <br /> <br />탄소 배출 억제와 함께 탄소 중립을 위한 대안의 하나인 이 CCS 기술이 국내에서는 어디까지 와 있을까요? <br /> <br />양훼영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울산에서 남동쪽으로 58km 떨어진 곳에 있는 동해 가스전. <br /> <br />지난 2021년 말 가스 생산이 멈춘 이곳에 국내 첫 'CCS 실증사업'이 진행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석유공사는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연간 120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이곳에 저장한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지난 4월,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세부 방안으로, CCS 기술에 활용방안까지 더한 CCUS로 감축할 탄소량을 기존 1천30만 톤에서 1천120만 톤으로 확대했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국내의 관련 기술 수준이 아직 부족하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국내 CCUS 기술 수준은 미국, 유럽 대비 약 80% 수준인데, 이 가운데 포집 기술 분야는 4.5년 뒤처져 있습니다. <br /> <br />탄소 저장분야 기술 격차는 더 커 6.5년 차이가 나는데, 포항 지진 이후 관련 연구들이 중단되거나 축소됐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유정균 / 에너지기술연구원 CCS 연구단장 : 국내의 CO2 포집 기술 수준에서 선진국과 경쟁을 할 수 있을 만큼 원천 기술은 확보하였는데요. 국내 기술이 좀 부족한 면은 사실입니다. 그중 하나가 대규모 실증이고요. 두 번째가 바로 경제성입니다.]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CCS 기술이 위장 환경주의, 이른바 '그린워싱'이라는 지적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발전소에 탄소 포집 설비를 추가하면 건설 비용과 연료 사용이 느는 등 이산화탄소 감축량보다 배출량이 더 많을 수 있다는 비판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는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[권이균 / 한국 CCUS 추진단장 : 통계적인 오해로 출발한 생각입니다. (최대 감축량 대비 배출량이) 향후에는 10% 미만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서 전체적으로 감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량은 점점 줄어들 것이고….] <br /> <br />국제에너지기구는 CCS 기술 없이 지구 온도 1.5도 상승 제한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 과정에서 CCS 기술은 큰 역할을 하며, 효율 향상과 경제성 확보를 위한 CCS 기반 기술 개발을 꾸준히 이어가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사이언스 양훼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양훼영 (hw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3083007021268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