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치권 이념 공방의 중심에 선 인물, 앞서 홍범도 장군에 대해 알아봤는데, 이번엔 정율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정율성을 설명하는 키워드는 크게 세 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항일, 북한, 중국 <br /> <br />먼저 정율성은 광주 출신의 항일운동가입니다. <br /> <br />광주에서 태어나 19살이 되던 해에 중국 난징으로 넘어간 정율성은, 음악 공부와 독립운동 업무를 병행하던 중 1939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해 중국 인민 해방 군가인 '팔로군 행진곡'을 작곡했고, 해방 전까지 화북 조선 청년 연합회 등에 소속돼 항일 운동도 계속했습니다. <br /> <br />해방 이후, 정율성은 북한으로 귀국하는데요. <br /> <br />북한에서 조선 인민국 구락부 부장, 인민군 협주단 단장으로 활동하면서 '조선 인민군 행진가' 등 북한군 군가를 작곡하죠. <br /> <br />최근 정율성 문제 제기에 앞장서고 있는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은 정율성을 공산당 나팔수라고 평가하고 있는데, 중국 인민지원군으로 6·25 전쟁의 전선에서 북한군 위문 활동을 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정율성은 6·25 전쟁이 끝나기 전, 중국 국적을 취득한 뒤 중국으로 돌아가 작곡 활동에 매진합니다. <br /> <br />가곡, 군가, 동요 등 300여 곡을 작곡했고, 지금까지 중국인들이 존경하는 3대 음악가 중 한 명으로 추앙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항일 운동을 했으면서 공산당에 입당했고, 북한 군가를 작곡했지만, 중국에서는 현대 음악의 대부로 칭송받는, 복잡하게 얽히고설킨 이력 때문에 이념 공방의 중심에 서게 됐는데요. <br /> <br />처음부터 이념 논쟁이 있었던 건 아닙니다. <br /> <br />1988년 노태우 대통령 재임 시절, 당시 서울 올림픽을 추진하면서 '한중 우호의 상징'으로 중국에서 추앙받는 정율성의 아내 정설송을 초청합니다. <br /> <br />정설송 역시 저우언라이 중국 초대 총리의 수양딸이자 중국 최초 외국 주재 여성 대사로 알려져 상징성 있는 인물이었죠. <br /> <br />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정율성은 여러 정부를 거치면서 양국 관계 개선의 구심점으로 자주 조명됐고, 광주에 있는 정율성 생가에 중국인들의 발길도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2020년 5월, 광주시는 동구 불로동 일대에 정율성 역사 공원 조성계획을 발표하고, 48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4월 마무리될 예정인데요. <br /> <br />완공을 8개월 남짓 앞두고 뿌리 깊은 이념 논쟁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어떤 논쟁인지 양측 입장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[강기정 광주시장 / SBS 김태현의 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석원 (ancpar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0830160840012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