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택 공급 위기 신호…"불안 심리 잠재워야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공사비와 금리 상승으로 주택 공급의 선행 지표로 불리는 인허가와 착공 건수가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심각성을 느낀 정부는 주택 수요자 심리 안정 등을 포함해 대책 논의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조성흠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주택 공급의 선행 신호로 불리는 인허가와 착공 지표.<br /><br />금리와 공사비 상승, 분양 수요 위축 등으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올해 들어 7월까지 주택 인허가는 20만 7천여호로,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0% 가까이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착공은 더 심각합니다.<br /><br />10만 2천여호로 지난해 같은 기간 비교해 절반 이상 하락했습니다.<br /><br />실제 주택 공급은 인허가 3∼5년 뒤, 착공 2∼3년 뒤 이뤄집니다.<br /><br />국토부는 하락세가 잡히지 않자 '초기 비상'이라며 9개월 만에 주택공급 혁신위원회까지 소집해 대책을 논의했는데, 전문가들은 주택 공급에 문제가 생길 거란 '시장의 불안'을 잠재우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.<br /><br /> "무주택자들이 기다리면 싸게 내 집 장만을 할 수 있다는 신호를 시장에 지속적으로 보낼 필요가 있고요. 공급 차질이 일어나지 않도록 치밀한 계획이…"<br /><br />여기에 악성 미분양이라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도 건설사들이 착공을 주저하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악성 미분양은 지난달 기준 지난해 12월 이후 처음으로 소폭 감소했지만, 안도하긴 이릅니다.<br /><br />정부가 미분양 아파트를 직접 매입해야한다는 해결책도 나오지만, 국토부는 선을 그었습니다.<br /><br /> "미분양은 시장에서 소화해야 한다는 게 원칙입니다. 사태를 야기한 장본인에 대해선 최대한의 책임과 불이익을 주고 난 뒤에 공공을 위해…"<br /><br />여기에 공공분양주택에서 큰 축을 담당하는 LH가 전관 문제로 수술대에 오르는 상황.<br /><br />국토부는 주택 공급에는 지장이 없도록 LH의 혁신안을 진행한다는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조성흠입니다. (makehmm@yna.co.kr)<br /><br />#인허가 #착공 #아파트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