흐릿해진 '상저하고'…수출 출하 36년 만에 최대 감소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하반기 첫 실물경기 지표가 상당히 부진했습니다.<br /><br />7월 생산,소비, 투자가 일제히 감소했는데요.<br /><br />소비는 3년 만에, 설비투자는 11년여 만에 가장 크게 줄었고, 특히 제조업 수출 출하는 거의 36년 만에 최대 감소폭을 기록해 경기 '상저하고' 기대감이 옅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박지운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폭우와 태풍 등 기상악화로 경제 활동이 위축됐던 7월.<br /><br />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7월 소매판매액 지수는 6월보다 3.2% 하락하며 3년 만에 가장 크게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 "그건 사실이에요. 날씨에 대해서 많은 지장이 있고, 먹는 장사 잘 된다고 하지만 사람이 안 나와요. 장사가 안 돼요."<br /><br />음식료품, 의복, 승용차나 가전제품 등 거의 모든 품목에서 소비가 위축됐습니다.<br /><br /> "예년에 비해 강수 일수 및 강수량이 많아 외부 활동에 제약이 있었던 일시적 요인이 상당 부분 영향…"<br /><br />여기에 생산과 투자까지 모두 감소하면서, 산업 활동 전반에 '트리플 감소'가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세 지표가 일제히 줄어든 건 올해 1월 이후 6개월 만입니다.<br /><br />특히, 설비투자는 자동차와 운송장비 투자 급감 탓에 2012년 3월 이후 11년 4개월 만에 가장 큰 8.9%의 낙폭을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개별소비세 인하 종료로 승용차 판매가 6월 반짝 늘었다가 다시 감소한 기저효과가 소비는 물론 투자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게 통계청 설명입니다.<br /><br />제조업과 공공행정 등에서 생산이 줄면서, 전산업생산지수는 6월보다 0.7%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제조업 출하 중 내수 출하도 2.4% 줄었지만 중국 경제 침체 영향 등으로 수출 출하가 무려 35년 11개월 만에 최대인 14.5%의 감소폭을 보였고 제조업 재고율도 1.6% 상승했습니다.<br /><br />현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도 99.6으로 두 달째 떨어져 경기가 회복되지 않는 모습이지만 기획재정부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상승 등을 근거로 회복 흐름은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를 내놨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지운입니다. (zwoonie@yna.co.kr)<br /><br />#산업활동동향 #통계청 #상저하고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