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외톨이형 범죄' 늘어…고립청년 불러내려면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잇따라 벌어진 강력범죄 피의자들에겐 공통점이 있습니다.<br /><br />사회에서 단절된 이른바 '은둔형 외톨이'였다는 건데요.<br /><br />고립 청년은 점점 늘어나는데 국가적 대책은 아직 마련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신선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등산로 성폭행·살인범 최윤종은 직업이 없이 PC방을 전전하며 생활했습니다.<br /><br />흉기난동을 벌인 조선과 최원종, 또래 여성을 살해한 정유정도 고립·은둔 생활을 했습니다.<br /><br />비교와 경쟁이 만연한 사회에서 느끼는 열등감을 이기지 못했단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건강한 관계 속에서 해결하지 못하면 극단적 분노로 나타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우려합니다.<br /><br /> "사람들하고 관계를 안 하게 되기 때문에 자기 혼자의 상상이라든지 환상이라든지 그 안에 사로잡혀버리게 되거든요…그게 범죄적인 걸로 나갈 수도 있는 거죠."<br /><br />흉악범죄로까지 이어진 뒤에도 관심은 경찰의 치안 대책이나 사후 처벌에만 쏠릴 뿐, 고립 청년들의 회복 지원 등 사회적 대책 마련은 뒷전이라는 지적도 빠지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전국의 고립청년은 못해도 약 20~30만 명으로 추정되지만, 보건복지부는 지난 달에야 뒤늦게 첫 실태조사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2003년부터 '히키코모리'라는 용어를 정의한 일본은 법을 고쳐 이들을 복지 수혜자로 지정하도록 했지만, 우리나라는 일부 지자체나 민간기관이 나설 뿐 국가적 대책은 아직입니다.<br /><br /> "이 청년이 과연 욕구가 무엇인지, 그리고 이 친구한테 맞는 프로그램이 무엇인지 연결하는 게 되게 중요한데요…거점도 없고, 지금은 어떤 구체적인 법적 체계화가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…."<br /><br />다만 모든 은둔·고립 청년을 잠재적 범죄자로 낙인찍는 건 사회로 첫 발을 떼려는 이들의 고립을 부추길 수 있는 상황.<br /><br />섬세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한 이유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신선재입니다. (freshash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