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흉기 난동 사건이 잇따라 발생한 이후 온라인을 뒤덮고 있는 흉악범죄 예고 글이 경찰의 엄벌 방침에도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경찰에 붙잡힌 피의자들은 대부분 10대로, 장난이었다고 말하지만, 전문가들은 단순하게 넘어갈 문제는 아니라고 입을 모읍니다. <br /> <br />청년 고립과 공동체 의식 약화로 사회의 병리 현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강민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경찰의 엄벌 방침에도 흉기 난동 협박 글은 SNS 등에서 여전히 꼬리를 물고 나타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30일 기준 경찰이 체포한 흉악범죄 예고 글 작성자는 240명. <br /> <br />대부분 경찰 조사에서 장난으로, 또 관심받고 싶어서 살인 예고 글을 올렸다고 진술합니다. <br /> <br />시민을 공포에 몰아넣는 작성자들의 심리는 무엇일까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관심에 대한 갈구를 꼽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말까지 체포된 흉기 난동 예고 글 피의자 중 절반 가까운 41%가량이 10대입니다. <br /> <br />대부분 SNS를 사용하고, '밈(meme)'이나 '챌린지(challenge)'로 불리는 온라인의 놀이 문화를 즐기는 세대입니다. <br /> <br />이들이 흉기 난동 예고 글을 하나의 '챌린지', 즉 관심을 받는 수단으로 가볍게 여긴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또 개인주의가 강하다 보니, 살인 예고 글이 가져올 타인의 공포와 사회적 피해는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[승재현 /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선임연구원 : 옛날에 어른들이 우리 때가 만우절날 그냥 112, 119 신고하듯이 그들은 그 온라인 공간에서의 그 글이 자기들끼리 장난이 되는 거예요.] <br /> <br />사회적으로 고립된 청년들의 비뚤어진 '탈출구'가 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무차별 범죄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진 상황에서 부정적인 방법으로라도 영향력을 과시하고 존재를 확인받고 싶어 하는, 일종의 '주목 경쟁'이 벌어지고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는 살인예고 글 작성자에게 '처벌받을 수 있다'는 인식을 심어주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. <br /> <br />[배상훈 / 프로파일러·우석대 경찰행정학과 교수 : 안 잡힐 줄 알았겠지, 당연히. 여태까지 그런 적이 없었으니까. 너희를 주목하고 있는데 대신에 너희가 조금 더 긍정적으로 가게 되면 같이 갈 수 있고 만약에 이게 거기서 벗어나게 되면 처벌도 가능하다고 하는 인식을 아이들한테 심어줘야지….] <br /> <br />다만 이런 현상이 '은둔형 외톨... (중략)<br /><br />YTN 강민경 (kmk0210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903050240414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