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교육당국도 비상입니다. <br> <br>교육부 장관은 "학생들 곁에서 학교를 지켜달라"며 교사들에게 연가 등 동참 자제를 호소했습니다. <br> <br>여당과 정부는 부랴부랴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.<br><br>당정협의회가 열린 총리 공관 앞으로 가보겠습니다.<br><br>김단비 기자, 어떤 대책들이 논의됐습니까? <br><br>[기자]<br>내일 교육현장에서 대혼란이 예상되면서 교육당국을 비롯해 대통령실도 긴장한 분위기입니다. <br> <br>정부와 여당은 3시간 전 이곳 총리 공관에서 고위 당정협의회를 열고 내일로 예고된 교사들의 연가 등 집단 행동에 대한 대책을 조금 전까지 논의했습니다. <br> <br>아직까지 논의 내용은 알려지지 않고 있는데요. <br> <br>앞서 교육부가 재량휴업에 이어 병가와 연가를 사용해 사실상 우회 파업에 동참하는 것을 불법행위로 규정하고 중징계 카드를 꺼내들면서 오히려 상황을 더 악화시켰다는 지적도 나오는데요. <br> <br>이주호 교육부 장관은 예정에도 없던 호소문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. <br><br>직접 들어보시죠. <br><br>[이주호 / 교육부 장관]<br>"고인이 된 선생님을 향한 추모의 뜻과 무너져내린 교권을 회복해야 한다는 마음은 교육부도 선생님들과 절대 다르지 않습니다. 선생님 여러분, 우리 학생들에게는 선생님이 필요합니다. 선생님께서는 학생들의 곁에서 함께 해주시길 바랍니다." <br> <br>사실상 내일 교사들이 연가, 병가 등 휴가를 대규모로 낼 것으로 파악되면서 수습에 나서는 모습인데요.<br><br>교육부 차관은 현직 교사들과 현장 간담회를 갖기도 했습니다.<br> <br>교사들은 내일 집회 등 추모행동 참여를 허용해 달라고 요구했고 징계 방침에 대한 날선 비판도 이어졌습니다. <br><br>서울시교육청 등은 비상근무에 들어가 단계별로 대응책을 수립하고 돌봄 제공에 이상이 없도록 준비에 나서고 있습니다. <br> <br>현재까지 얼마나 많은 초등 교사들이 연가 낼지 파악이 안 되면서 교육당국은 각 학교에 연락해 실시간으로 상황을 체크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코로나 대유행 당시 가동됐던 장학사, 장학관 긴급 투입 등 대응 메뉴얼도 검토되고 있습니다.<br><br>지금까지 총리 공관 앞에서 채널A 뉴스 김단비 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김찬우 <br>영상편집: 이승근<br /><br /><br />김단비 기자 kubee08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