올여름 고온다습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지난달 전기 사용량이 역대 여름철 가운데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. <br /> <br />전기요금 청구서는 이번 달 말쯤 배달될 텐데, 가정과 소상공인 등의 부담이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박홍구 기자! <br /> <br />지난달 무더위가 심했는데요. 전력 사용량이 어느 정도였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달 전력거래소에서 이뤄진 전기 거래량은 5만 천 기가와트시로 잠정 집계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 정도 수치는 지난해 8월 5만, 2021년 4만 8천 기가와트시보다 많은, 역대 7, 8월 중 최대 전기 거래량입니다. <br /> <br />또 올해 들어 월간 전기 거래량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증가한 것은 8월이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전기 사용량의 55%를 차지하는 산업용이 수출 부진 등의 영향으로 정체됐다고 가정했을 때 주택용과 상업 시설에서 쓰는 일반용 전기 사용량이 급증했을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기 사용량이 급증한 것은 날씨와 직접적 관련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8월 하루 최고 기온이 33도 이상인 날은 11일로 2018년 이후 가장 많았고, 서울 평균 기온은 27.2도로 2018년 이후 가장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그만큼 에어컨 등 냉방기기 사용이 늘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러면 전기사용량이 늘어난 만큼 8월 전기요금도 많이 나올 텐데, 어느 정도나 나오게 될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8월 4인 가구 평균 전기요금이 6만 6천690원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427kw의 전기를 쓴 건데요. <br /> <br />올해 8월에 같은 양을 사용했을 경우 20.8% 오른 8만 530원을 내야 합니다. <br /> <br />국제 에너지 가격 급등에 따라 지난해 여름 이후 전기요금은 세 차례에 걸쳐 1킬로와트시당 28.5원이 인상됐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여기에다 올여름 극심한 무더위로 전기 사용량이 늘었다면 전기요금 부담은 더욱 커지게 됩니다. <br /> <br />전기 사용량이 10% 늘면 전기요금은 10만 원, 20% 늘었다면 전기요금 11만 5천 원 정도를 내야합니다. <br /> <br />이는 지난해 8월에 비해 전기요금이 각각 50%, 73% 급증한 양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렇다면 전기요금 고지서는 언제 가정에 배달될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역마다 차이가 있지만 서울의 경우 아파트가 많기 때문에 관리비에 합산해서 전기요금 청구서가 날아옵니다. <br /> <br />9월 1일부터 4일 사이에 검침해서, 10일 전후에 각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전달하고, 20일 이후 8월 관리비에 전기요금이 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홍구 (hkpar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90413211642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