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중국의 명동이라 불리는 번화가에서 외국인 관광객 찾아보기가 어려워졌습니다. <br> <br>중국을 찾는 여행객이 코로나 전에 비해 30% 수준입니다. <br><br>반간첩법이 시행되면서 자칫 간첩으로 몰릴까, 불안감이 커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베이징,이윤상 특파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베이징 중심가에 있는 징산 공원. <br> <br>자금성을 내려다보려는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곳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외국인 관광객은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. <br><br>[현장음] <br>"조금 더 왼쪽으로 움직여봐" <br> <br>한때 중국의 '명동'으로 불리던 거리도 비슷한 상황입니다. <br><br>13세기부터 상업지구로 만들어진 왕푸징 거리는 외국인 관광객의 여행 필수 코스였습니다. <br><br>지난해 말 코로나 봉쇄가 해제되고 관광도 재개됐지만 이 거리에선 여전히 중국인들 목소리만 들립니다. <br><br>[현장음] <br>"배낭 메고 있으면 무거워" <br> <br>[왕푸징 상인] <br>"(요즘 외국인 안 많아요?) 네, 그다지 많지 않아요." <br><br>홍콩 언론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을 다녀간 해외 여행객은 844만 명 정도입니다. <br><br>코로나 이전인 2019년 3100만 명에서 70% 넘게 급감했습니다. <br><br>지난해 7월 반간첩법 시행 후 SNS를 통해 간첩 식별법까지 교육하는 중국 사회 분위기 때문에 외국인 관광객의 발길이 줄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<br>[간첩 식별법 교육 영상] <br>"(우리 주변에 간첩이 숨어 있다는데 신고하면 50만 위안 주는 거 진짜예요?) 정말이에요." <br> <br> 중국 정부는 국민들이 참여하는 "국가안전 인민방위선을 구축해야 한다"고 강조하지만, 오히려 부정적인 이미지만 확산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베이징에서 채널A 뉴스 이윤상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위진량 (VJ) <br>영상편집 : 정다은<br /><br /><br />이윤상 기자 yy27@ichannela.com